양평발전연대 김학조 수석대표
“중첩규제속에서도 아파트를 비롯한 양평의 주택기반이 들어선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찾곤 합니다.”
양평의 물규제와 관련한 투쟁의 역사에서 최선봉장의 역할을 담당했던 김학조 양평발전연대 수석대표(55·이하 양발연).
김 수석대표는 지난 1998년 정부의 한강법 제정과 팔당특별대책으로 인한 강력한 규제 위기에서 양평군범군민대책위원회 양평읍 사무국장을 맡으며 물규제 투쟁의 중심축 역할을 시작했다.
또 그는 양평읍 신애리 종합훈련장(사격장) 범군민투쟁위원회 투쟁위원장, 군비상대책협의회(이하 비대협) 수석대표, 경기연합 집행위원장 등 양평투쟁 역사의 산증인으로 꼽힌다.
지난 2008년 2월 지역 시민·사회단체(40여개)의 연합체로 탄생한 양발연을 이끌고 있는 김 대표는 대정부 투쟁의 세월동안 과도하거나 불합리한 규제를 막아내기도 하고 아파트 등 개발에 필요한 하수물량을 확보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쓸쓸한 웃음속에 회한과 고뇌도 많았는지 평범한 자연인으로 돌아가고 싶은 심정을 가득 담고 있다. 10여년 넘게 고향 양평의 억눌림에 몸부림 쳐 왔지만 아내나 자식들에게는 낙제 남편이자 낙제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젊은 지식층중에 어느 누구도 나서길 꺼려하는 현 세태와 맞물려 ‘시민단체를 이끌겠다’고 나서는 후배가 없는데다 오랜동안 가장으로서의 경제생활엔 뒷전이었던 자신에 대한 인생회한도 크다.
그는 “지난 2003년 환경부가 규제고시 개정을 통해 더 강력한 규제정책을 내놓을 당시 삭발투쟁이나 6번국도와 중앙선 철로 점거농성을 계획, 범법자를 자처할 때 가족들이 느꼈을 충격과 가장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그 시대 그 양평을 후배들에게는 더이상 물려주고 싶지 않다”며 양평 발전을 꿈꿨다.
김 대표는 “투쟁의 역사속에서 2003년 정부의 일방적인 팔당 정책에서 군민과 지자체가 참여하는 팔당수질정책협의회가 탄생된 계기와 잘못된 팔당고시 개정을 막아내고 장관의 사과 및 재발방지 약속을 이끌어 내던 그 시절이 가장 소중한 기억으로 남는다”며 “후배들에게 양평을 사랑했다는 소박한 가치로 마음을 나눌 수 있다면 후회는 없다”고 속내를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