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병의원·약국 수백곳 사실상 점검 어려워”
인천지역 병·의원 및 약국 등의 향정신성의약품 관리가 허술하지만 이를 단속할 보건소 인력이 부족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1일 시 및 각 구 보건소 등에 따르면 향정신성의약품은 일종의 마약류로 보관방법 및 구입·처방내역 기재, 사용기한 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지만 일부 병·의원과 약국 등은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
올들어 구 보건소와 경찰 단속을 통해 적발된 사례만도 10여건에 이르고 있다.
남구 학익1동 A의원의 경우, 사용기한이 지난 향정신성의약품(신경안정제)을 환자에게 투약했다 최근 구 보건소 단속에 적발됐다.
A의원이 투약한 신경안정제의 사용기한은 지난해 12월13일까지이나 투약시기는 올 4월께로 무려 4개월이 경과됐다.
지난 9∼10월 남동구 의원 2곳 역시 사용기한이 지난 향정의약품을 보관했다 각각 업무정지 1개월의 행정처분을 받았다.
남동구 B병원은 약품 잠금장치를 허술하게 관리해 과징금 90만원이 부과됐고 계양구 병원 2곳도 사용기한이 경과된 향정의약품을 보관하다 적발됐다.
이는 환자에게 직접 투약할 경우 자칫 부작용이나 건강을 위협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하지만 향정신성의약품을 취급하는 병·의원 및 약국 등은 물론 이를 단속할 보건소도 인력 부족으로 병·의원과 약국 수백곳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동구만해도 보건소 직원 3명이 상시 점검에 나서고 있지만 병·의원과 약국 등이 470여곳이어서 사실상 2∼3년에 1차례 점검하는 셈이다. 남구는 이보다 더 많은 609곳을 보건소 직원 2명이 관리·감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선 보건소 관계자는 “경찰 등 합동단속과 별도로 상시 점검하고 있으나 대상이 워낙 많아 현실적으로 단속하는 데 한계가 많다”며 “우선 병·의원 스스로 향정신성의약품 취급에 만전을 기하도록 계도 및 지도감독 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