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고성 명품 자전거길 조성, 유엔평화대학도 설립
경기도가 추진해 온 비무장 지대(DMZ)의 각종 계획이 국가가 주도하는 생태·평화벨트 사업으로 추진된다.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은 12월2일 경북도청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3차 지역발전위원회 회의에서 ‘남북교류·접경권 초광역개발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기본구상에 따르면 정부는 한반도 분단의 상징인 DMZ가 가진 상징성, 접근성 등 생태·평화·경제적 잠재력을 활용, 세계적 생태·평화공간으로 육성한다.
우선 DMZ 일원이 생물권보전지역과 ‘지오파크’로 지정돼 DMZ의 희귀생태자원과 문화유산이 세계 공동자산으로 활용되며 강화에서 고성까지 총 495㎞의 민통선지역에는 자건거길인 평화누리길이 연결돼 ‘DMZ 세계 MTB대회’가 개최된다.
또 정부는 세계평화협력의 상징공간으로 DMZ내 판문점을 중심으로 UN평화회의장, UN평화대학 설립도 추진한다.
동서-남북간 교통인프라 구축과 관련, 남북간 단절된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고 영종도 국제공항과 해주·개성지역을 잇는 서해 평화연도교 건설도 검토된다.
이와함께 파주 LCD단지와 연계돼 경기북부지역에는 첨단영상부품산업, 첨단디스플레이, 첨단신소재, 신재생에너지 등의 개념이 도입된 산업형 남북교류협력지구가 만들어진다.
이로인해 수도권 첨단산업과 연결된 첨단디스플레이 벨트화도 도 북부 지역에 추진된다.
행안부는 현행 접경지역지원법을 전면개정, 행정지원과 재원 조달 등의 내용을 담은 접경지역지원특별법을 마련해 오는 2011년부터 각종 지원방안을 법제화할 예정이며 핵심사업 추진을 위해 규제를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부동산 투자 및 난개발, 생태계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특별관리 대책도 병행 추진된다.
강병규 행안부 제2차관은 “접경권 초광역개발을 통해 DMZ를 세계인이 가장 오고싶어 하는 공간으로 육성할 방침”이라며 “앞으로 DMZ가 통일한국의 ‘생태·평화 공간’으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