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와 경기도,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측이 지난 2008년 내삼미동 122 외 103필지 12만3천115㎢에 서울대병원 및 서울대치과병원을 건립하기로 MOU를 체결한 이후 그 기한을 1년 연장하면서 지역사회에서는 ‘서울대병원이 오긴 오는 것이냐’, ‘서울대병원 부지를 매각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 ‘타 학교 병원을 유치하려는 것 아니냐’ 등 갖가지 소문이 나돌고 있다.
시는 MOU 체결 이후 3년여 동안 535억원을 들여 토지보상을 완료(지난 4월)했으나 서울대병원 측은 그동안 기한연장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입장을 유보해 왔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달 중순께 최종 용역결과 및 재원조달방안을 포함한 추진계획이 서울대학병원 이사회에 최종 보고될 예정이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서울대학교병원 유치 논란
서울대학교병원 유치를 둘러싼 논란은 지역정치권에서 시작됐다.
지난 2008년 5월 오산종합의료기관 건립을 위한 MOU가 체결되자 당시 이기하 시장(한나라당) 체제의 시는 지역 곳곳에 MOU 체결과 관련한 현수막을 내걸고 수만통에 달하는 문자메시지를 시민들에게 무작위 송출했다.
이에 현 곽상욱 시장이 몸담고 있던 민주당은 ‘MOU는 단지 상호 의사만 확인한 것으로 실질적인 유치성사는 아니다’며 ‘이는 명백한 차기 선거를 염두해 둔 사전선거운동’이라며 반발했다.
그러던 중 1년의 MOU 기한이 도래했으나 용역조차 발주되지 않는 등 병원 건립을 위한 제반과정이 지지부진해 지자 기한을 1년간 연장하면서 ‘유치가 되는 것이냐, 아니냐’는 시비론이 일기 시작했다.
이후 6·2 지방선거를 통해 입성한 곽 시장은 곧바로 서울대병원 유치와 관련한 업무를 파악한 뒤 직접 서울대학병원을 방문, 추진의사를 확인하는 등 MOU체결에 대한 실체를 낱낱히 파헤쳤다.
그러면서 지역사회에서는 ‘곽 시장이 서울대병원 유치를 포기하는 것 아니냐’, ‘시장의 부정적 입장으로 난관에 봉착했다’, ‘시가 병원부지의 매각을 추진한다’, ‘서울대병원이 아닌 다른 대학병원 유치를 모색한다’ 등 확인되지 않은 소문들이 급속도로 확산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시와 서울대병원 입장과 전망
곽 시장은 서울대병원 유치와 관련, “유치입장은 단 한번도 변한 바 없다”며 “다만 서울대학병원 측이 명확한 입장을 보여 달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지보상까지 끝냈는데… 기한연장에 소문만 무성
곽 시장 “서울대병원 명확한 입장 보여 달라” 요청
병원측 “분원 건립 변함 없어… 이달 중 최종 결정”
즉 이제까지 시가 535억원이라는 혈세로 토지까지 매입,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일방적으로 노력해 온 만큼 최종 용역결과가 임박한 이제는 서울대학병원 측도 연차별 건립계획 및 재원조달 방안 등을 포함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로드맵이 제시될 경우, 시는 내년 5월28일 본계약을 체결, 그동안의 논란을 완전 종식시킨다는 복안이다.
반면 서울대병원 측은 “MOU를 체결한 만큼 분명 오산에 분원을 건립한다는 의사는 변화가 없다”면서도 “주변상황을 고려해 최종 결정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오산서울대학교병원 유치의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동탄2신도시 개발 등) 주변상황과 재원조달 문제 등 고려해야 한다”며 “이달 중 최종 용역결과가 나오면 이에 따라 재원조달 방안 등을 모두 검토해 서울대학교 이사회에 보고, 그 결과에 따라 추진여부가 판가름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즉 오산서울대병원 건립은 총장, 기획재정부·교육과학·보건복지가족부 차관, 동문회장, 본원장 등 9인으로 구성되는 서울대 이사회의 의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3개 부처 정부 차관이 이사로 참여하고 있는 만큼 오산서울대학교병원 유치 문제는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오산=정일형기자 ihju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