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4개월만에 기준금리 0.25%p↑ 가계·中企 올 추가이자 3조4천억 달해
한국은행이 7월에 이어 넉달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가계와 기업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변동금리 대출자들의 경우 늘어난 대출이자 등으로 추가비용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환율 하락으로 수출이 부진한 중소기업도 대출에 대한 압박이 거세질 전망이다.
16일 한은과 삼성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현행 2.25%인 기준금리를 2.50%로 인상, 올해 총 0.5%p의 기준금리가 올라 가계와 중소기업이 추가로 부담할 연간 이자가 3조4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물가상승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환율 등 대외변수의 불확실성이 지난달보다 완화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는 지난 9월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목표(3.0±1%)의 중심인 3.0%를 돌파한 후 지난달에는 무려 4.1%로 치솟았다.
게다가 최근 G20정상회의를 거치면서 과도한 자본유출입에 대한 규제를 허용하는 등 환율여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축소된 것도 기준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줬다.
이런 가운데 대출자들은 기준금리 인상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기준금리가 1%p 인상돼 대출이자와 예금이자에 그대로 반영됐을 때 국내 1·2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가계와 기업들은 연간 6조8천억원의 이자부담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기준금리가 7월과 11월에 걸쳐 총 0.50%p 인상되면서 예금 이자 증가분을 뺀 가계와 기업의 연간 이자부담은 3조4천억원에 이른다.
실제로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0.5%p 높아졌다면 1억원을 연 5%의 변동금리로 주택대출을 받은 사람의 연간 대출이자는 500만원에서 550만원으로 50만원 늘어난다.
더구나 최근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에도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난 9월부터 주택거래활성화를 위해 주택담보대출 규제인 DTI(총부채상환비율)을 완화한 가운데 10월중 지방의 주택매매가격이 상승곡선을 타고 있고, 수도권의 하락폭이 줄어들었지만, 이번 조치로 주택구입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날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상이 발표되자 은행들이 일제히 대출금리를 올려 서민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은 17일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각각 연 4.9%~6.4%와 4.39~6.14%로 전날보다 0.14%p 올렸으며,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0.05%p 인상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리인상으로 수요자들의 기대심리는 어느 정도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