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당·정·청 9인 회동 대책 부심… 야권, 긴급 의원총회 ‘반발 수위’ 높여
檢, 청목회 압수수색
검찰이 청목회 사건을 수사하면서 여야 의원 11명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하자 정치권은 검찰의 과잉 수사를 비판하면서도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 등 야권은 긴급 의원총회를 여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고, 한나라당도 당·정·청 9인 회동을 갖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7일 기자 간담회를 갖고 “이번 압수수색은 법치 국가에서는 있을 수 없는 명백한 야당 탄압이며,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검찰의 쿠데타”라고 비난했다.
박 원내대표는 “도대체 법무부 장관의 대정부 답변을 믿어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정치권이 총제적으로 우롱당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유선진당도 이날 이회창 대표와 당 5역 회의를 통해 성명서를 내고 이번 압수 수색은 검찰에 의해 국회가 치욕을 당한 일이라며 강도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청목회 조사는 지난 2월부터 진행되고 있었고 국회의원의 후원계좌는 증거를 인멸할 수 없다”며 “또 국회의원은 도주의 우려도 없고 일제히 강제수사를 하지 않으면 안 될 긴박한 사정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서 야권은 8일 야 5당 원내대표 회담을 열어 공동 대응 방안을 찾고 규탄대회를 여는 등 반발 강도를 높일 계획이다.
반면 한나라당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여당 내부에서조차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야당의 파상 공세도 차단해야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안형환 대변인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의혹이 있다면 법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수사하는 것이 검찰의 의무”라며 “하지만 이번 건은 10만원 소액 후원금 제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한 일이었다”고 지적했다.
안 대변인은 또 “한두명도 아닌 11명의 의원에 대해 사전 자료요구도 하지 않고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둔 상황에서 압수수색을 해 파란을 벌인 것은 적절치 못했다”며 “여당으로서 매우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따라서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당·정·청 9인 회동에서 청목회 사건을 비롯한 정국 핵심 현안을 놓고 여권 수뇌부가 한 자리에 모여 대책마련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공직자비리수사처 도입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