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 장기화 ‘후유증’ 우려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물가·가계부채 시한폭탄 될 수도

시중금리를 대표하는 국고채 실질금리가 18개월만에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등 초저금리 장기화로 각종 부작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17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3년만기 국고채 실질금리가 8월 연 1.13%에서 지난달 -0.12%로 큰 폭 떨어졌다.

 

이는 9월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6%였고, 3년물 국고채 금리가 연 3.48%(월 평균)인 상황에서 확정금리 상품에 대한 투자매력이 완전 상실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은행의 돈들이 빠져나가면서 증시자금은 대폭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은행권의 수신 잔액은 8월 중 3조5천억원이 감소한데 이어 9월 중에도 3조3천억원 감소했다.

 

반면 증시 대기자금이라 할 수 있는 고객예탁금과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산거품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돈값이 싸면 소비자와 기업들이 돈을 빌려 부동산이나 주식 투자에 나서면서 자산가격 급등을 일으켜 ‘거품’을 만든다.

 

향후 실물경제가 완전히 살아나지 않은 상황에서 자산가격이 다시 급락하면 경기나 가계의 소비활동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낮은 이자에 따른 소비자들의 대출이 늘면서 가계부채도 심각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9년 기준 153%로 영국(161%), 호주(155%)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저금리에 의존한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미루다보니 결국 퇴출대상 기업이 근근히 버티는 현상도 벌어질 수 있다.

 

한 대기업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국내 경제상황을 감안할 때 금리가 상당히 낮은 편”이라며 “점진적인 금리인상과 환율하락 용인 등을 통해 물가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