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희, 등단 11년만에 첫 장편 ‘구경꾼들’ 펴내
“우리는 자신을 어느 정도까지 경험할 수 있는 것일까? 겨우 한 귀퉁이 정도만 볼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나머지는 누가 보는 것일까? 그 나머지의 공간, 그 나머지의 경험, 그 나머지의 이야기들은 어디를 떠돌게 되는 것일까? 나는 늘 그것이 궁금했다.”
소설가 윤성희(37)씨가 등단 11년 만에 첫 장편소설 ‘구경꾼들’(문학동네 刊)을 펴냈다.
소설은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큰삼촌, 작은삼촌, 고모까지 함께 사는 이제는 찾아보기도 힘든 8명의 대가족의 모습을 ‘나’의 시각으로 이야기한다. 하지만 ‘나’의 이야기는 아니다. 소설은 ‘나’의 입으로 가족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소설 속의 가족 구성원들은 여느 소설의 등장인물에 비한다면 그리 특출난 데 없이 평범한 이들이다. 또한 이야기에 뚜렷한 줄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윤씨는 이런 대수롭지 않아 뵈는 인물들을 통해 연신 빛나는 장면들을 빚어내는 연금술을 선보인다.
소설은 아버지가 어릴 때 아이스박스에 이틀이나 갇혔던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시작으로 아버지와 어머니가 결혼하기 전, 그러니까 ‘나’가 태어나기도 전의 일들을 이야기한다. 아이스박스 이야기는 곧 아버지의 프러포즈가 되고, 이는 하루에 백 개씩 돼지족발을 썰면서 홀로 어머니를 키운 외할머니 이야기로 이어진다.
이처럼 ‘나’의 가족의 이야기는 수없이 많은 가지를 뻗어나간다. 온 가족의 바다 여행을 위해 봉고를 빌려준 아버지의 회사 동료 김 대리의 이야기와 외할머니가 일출을 보다 우연히 만난 침낭 속 소녀의 이야기들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저마다 사연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감칠맛 나는 웃음이 끊이지 않고, 어느새 따뜻한 감동이 솟아난다. 결국 소설은 모두가 주인공이라고 이야기 한다.
“어머니는 외할머니의 등에 업혀 잠이 들던,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갑자기 옆에 서 있는 나를 꼭 껴안으며 자주 업어줄걸, 하고 생각했다. 업어 키우면 다리가 휜다는 기사를 읽은 후 어머니는 나를 거의 업어주지 않았다. 나는 속으로, 대신 자주 안아줬잖아요, 하고 대답했다.”
작가가 “삶이란 이런저런 것들을 쳐다보고 그냥 어리둥절해하는 일은 아닐까”라며 “미로를 헤매다보면 뭔가 희미하게나마 알게” 될 것이라며 쓴 이 소설에서, ‘나’는 그렇게 이런저런 것들을 보고 어리둥절해하면서 어른이 돼간다. 값 1만원
채선혜기자 cshyj@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