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수수료율, 가구·의류업종 > 골프장·백화점

서민 관련 업종 대부분 2%대 여전히 높아… 추가 인하 필요

서민생활과 밀접한 가구·의류·자동차정비업종 등의 카드가맹점 수수료율이 여전히 높은 반면 골프장이나 백화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기준으로 서민 관련 업종에 대해 카드사(체크·선불카드 포함)가 실제로 징수한 수수료율은 2.45~2.85%인 것으로 집계됐다. 월 1천만원의 매출이 생겼을 때 24만~28만원을 가맹점 수수료로 가져간다는 얘기다.

 

가맹점 수수료를 서민 관련 업종별로 보면 가구업체가 3.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의류 및 직물업체 2.85% ▲자동차부품 및 정비업체 2.79% ▲농·축·수산물 2.63% ▲이·미용실 2.62% △일반 음식점 2.45%순이었다.

 

반면 대표적인 비(非)서민 업종으로 꼽히는 골프장의 가맹점 수수료는 1.57%로 낮았다. 백화점도 2.02%, 면세점도 2.19% 등에 그쳤다.

 

카드사들은 지난 3월 약 2만~4만개 재래시장 가맹점과 95만개의 중소가맹점 중 연간 매출액 9천600만원 미만인 곳의 수수료율을 각각 대형백화점 수준인 1.6~1.8%, 2.0~2.15% 수준으로 내렸다. 그러나 연간 매출액 9천600만원 미만으로 제한해 차상위 계층의 중소가맹점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국내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율은 1~2%대를 기록하고 있는 호주나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높은 상태”라며 “기준금리가 높은 이유도 있지만 불필요한 부가서비스나 마케팅 비용이 과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민 관련 업종에 대한 수수료율을 추가로 낮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 6월 말 현재 민간소비지출 301조원 중 신용카드 결제 비중이 55%에 달하는 만큼 카드사의 비용이 가맹점에 전가되는 수수료율을 점차 낮출 필요가 있다는 게 관련 당국의 시각이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