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파업 사태' 악몽 평택시 고용사정 호전

노동부, "사상 첫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효과"… '지정 기간 연장' 요청은 거부

지난해 쌍용차 파업 사태 여파로 극심한 지역경기 침체에 빠졌던 경기도 평택시가 정부의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13일 "평택시의 지난달 말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지난해 7월보다 8.8% 증가하는 등 전반적인 고용사정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쌍용차 파업 사태 직후인 지난해 8월 13일부터 올 8월 12일까지 1년 동안 평택시를 사상 첫 고용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해 지역 고용을 늘리기 위한 집중 지원을 벌였다.

 

노동부가 평택시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말 기준으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지난해 7월보다 7,425명이 늘어 8.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평균 3.3%와 경기도 평균 4.8%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수도 지난해 7월에는 2,150명까지 폭증했지만 올 4월 이후에는 월평균 600명 이하 수준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지난달 신규 구인인원 즉, 사업체가 채용을 필요로 하는 인원은 3,607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무려 259%(2,604명)나 늘었다.

 

노동부는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이 평택 지역의 고용여건 개선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고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이 지역 실직자를 위한 일자리 대책을 평택시 등과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노동부는 13일 열린 제26차 고용정책심의회에서 '12일로 만료된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기간을 연장해 달라'는 평택시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

 

노동부는 "평택시는 현재 '고용사정이 현저히 악화되거나 악화될 우려가 있는 지역일 것' 등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영중 인력수급정책과장은 "지난 1년 동안 정부 집중 지원으로 평택시 고용사정이 크게 개선됐는데, 지원 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다른 지역과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지난해 8월 13일 고용개발촉진지역 지정 이후 평택시가 특별지원과 우선지원, 추가 특별지원 형태로 받은 정부지원은 지난 7월 31일 현재 1,018억 4,100만 원"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