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46용사’ 조국의 가슴에 잠들다

영결식 해군장 엄수… 李 대통령 등 2천800여명 참석 
생존장병 46명 ‘마지막 길’ 함께해… 대전현충원 안장

‘천안함 46용사(勇士)’의 영결식과 안장식이 29일 해군 평택 2함대사령부내 안보공원과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해군장’으로 엄숙히 거행됐다.★관련기사 2·3·6면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 전두환 전 대통령, 장의위원장인 김성찬 해군참모총장 등 3군참모총장, 김태영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 여야 당 대표 등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 외교사절단, 군 관계자 및 일반 국민 등 2천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택 2함대에서 1시간 가량 영결식이 진행됐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영결식에서 고귀한 젊음을 국가를 위해 바친 고 이창기 준위를 비롯한 46명의 희생장병 영정에 일일이 화랑무공 훈장을 추서했다.

 

장례위원장인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조사를 통해 “그대 다 피지도 못하고 물젖은 몽우리로 산화하여 구릿빛 육체는 차디찬 바다에 던져졌지만 당신들의 숭고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은 우리들의 가슴에 생생히 살아 영원할 것”이라며 넋을 기렸다.

 

천안함 생존장병인 김현래 중사는 추도사에서 “그대들을 천안함 속에 남겨둬서 미안하다. 끝까지 함께 하지 못해 죄송하다”면서 “전우들에게 더 큰 용기를 주시고, 우리의 바다를 굽어 살피시어 이 나라를 지켜주소서”라며 추도사의 끝을 맺어 온 국민이 눈시울을 적시게했다.

 

이 대통령 내외와 유가족 대표 등의 헌화 및 분향과 종교의식에 이어 영령들의 넋을 기리기 위해 9발의 조총이 발사되고 평택군항에 정박한 모든 함정에서는 10초간 애도의 기적을 울렸다.

 

이어 해군 군악대 중창단이 ‘바다로 가자’와 ‘천안함가’를 합창하는 가운데 영현 운구가 시작됐다. 호위병 2명의 선도로 대형 태극기와 해군기를 앞세운 운구행렬은 길 양편에 도열한 해군 의장대 208명이 호위를 받으며 용사들의 영현과 영정과 위패, 훈장, 운구함 순으로 식장을 빠져나갔다.

 

천안함 생존장병 46명은 46용사의 영정을 직접 들고 전우의 마지막 길을 함께 했다.

 

군함에서는 해군 정모와 정복을 상징하는 흰색과 검은색 풍선 3천개가 하늘로 날아 올라 이들의 마지막 길을 안내했다.

 

유족을 태운 버스만 90대가 동원된 전례없는 대규모 운구 행렬이 2함대 인근 해군아파트를 지날 때 도로변에 도열해 있던 해군장병 및 가족과 주민들은 “편히 쉬시라”며 고인들에게 국화꽃을 바치며 배웅했다.

 

또한 해군 아파트로 가는 도로 변 양편에는 태극기와 해군기가, 아파트에는 집집마다 조기가 내걸렸고, 모든 함정의 승조원들은 정복 차림에 함정의 뱃전에 도열, ‘대함경례’로 최고의 예우를 표시했다.

 

평택 2함대를 떠난 46용사의 유해는 이날 낮 1시30분께 유가족들과 함께 국립대전현충원에 도착했다. 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된 안장식은 개식사, 고인에 대한 경례과 묵념, 종교의식에 이어 유해, 화랑무공 훈장과 함께 놓인 고인들의 영정을 향한 유가족들의 헌화와 분향으로 진행됐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