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경기·인천 20만 가구 공급

국토부, 주택종합계획 확정… 전국 40만 가구 건설

정부는 올해 경기·인천지역 주택건설 공급목표를 각각 15만8천 가구와 4만 가구 등 전국에 걸쳐 모두 40만 가구로 확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연초 계획했던 43만 가구보다 3만 가구 줄어든 것이며 이 가운데 18만 가구가 공공부문의 보금자리주택으로 건설된다.

 

국토해양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올해 주택공급 물량과 주택 정책 방향을 담은 ‘2010년 주택종합계획’을 확정했다.

 

주택종합계획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일부 주택공급 부족과 재개발, 재건축 등 이주수요 증가를 감안해 전체의 66%인 26만5천가구를 수도권에 공급하고, 지방은 수요 감소와 미분양 적체 등을 감안해 34%선인 14만 가구를 건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의 주택공급 물량은 지난해 실적(21만3천가구) 수준인 22만 가구로 추산됐다. 하지만 지난 2월 수도권 미분양 주택에 대한 양도세 감면 혜택 종료 이후 분양물량이 줄어들고 있어 이 같은 공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유형별로는 경기지역 분양주택이 10만7천 가구(민영주택 6만 가구·공공주택 4만7천 가구), 임대주택은 5만1천 가구(국민임대주택 3만 가구·공공임대 2만1천 가구)를 공급한다.

 

또 인천지역은 분양주택과 임대주택에 대해 각각 3만3천 가구와 7천 가구를 선보인다.

 

이런 가운데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지자체 등 공공부문이 전국에 걸쳐 건설하는 보금자리주택은 그린벨트 해제지에 들어서는 보금자리주택지구와 일반 택지지구, 재개발·재건축 사업에서 나오는 임대아파트 매입 등으로 지난해(16만8천 가구)보다 7%가량 늘어난 18만 가구를 공급한다.

 

이 중 16만5천 가구는 LH 등 공공기관이 직접 건설하는 것이고, 나머지 1만5천 가구는 재개발·재건축 용적률 완화로 건설하는 주택의 일부를 공공기관이 매입해 임대하는 것이다.

 

한편 전세시장은 올해 수도권의 입주물량이 17만3천 가구로 이전 3년 평균 입주물량(15만1천 가구)보다 늘어나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