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구촌을 공포로 몰아넣은 신종플루에 대한 WHO(세계보건기구)의 대응수위를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WHO가 이와 관련해 12일 전문가회의를 열어 신종플루 대응방식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신종플루 위험성에 대한 WHO의 경고가 불필요하게 과장됐는 지 여부를 놓고 집중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제약업계의 수입을 늘려주기 위해 WHO가 신종플루 위협을 지나치게 과장하지 않았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유럽회의 의원총회 볼프강 보다르크 보건분과위원장은 WHO를 강하게 비판해 주목을 받았다.
영국언론에 따르면 볼프강 보다르크 위원장은 "신종플루 대유행은 신종플루 백신으로 막대한 이익을 챙긴 제약회사들이 주도한 '허위 대유행'이다"라고 밝혔다.
또 WHO의 대응을 놓고 "금세기 최대 의학 비리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했다.
WHO가 이처럼 의심을 받고 있는 것은 신종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일반 계절독감 사망자보다 훨씬 적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신종플루 사망자는 지금까지 1만7천700명으로 집계됐다.
그런데 계절독감으로 인한 사망자는 연간 25만~3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신종플루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안팎에서는 지난해 신종플루로 온나라가 떠들썩할 때 다국적제약사의 WHO 로비설이 꾸준히 흘러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신종플루로 인한 국내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당국자도, 기자들도 문제제기를 하지 못했다.
이번 WHO 회의는 신종플루 바이러스의 존재가 확인된 지 1년여 만에 열리는 것으로 29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WHO는 지난해 신종플루 바이러스가 확인된 뒤 6월에 대유행을 선언한 조치는 적절했다는 입장을 고수해 오고 있다.
그래서 이번 회의에서 제기된 의혹부분이 명쾌하게 결론이 나질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지난 1일부터 신종플루 위기단계가 `주의'에서 `관심'으로 하향 조정되면서 위기상황이 완전 해제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