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보금자리 지정

광명-시흥·하남 감일·성남 고등 등 5개 지구 국토부, 8만8천여가구 공급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의 내집 마련 기회를 대폭 확대시킨 보금자리주택 3차 사업지구 5곳이 선정됐다.

 

지난 1, 2차 때와 달리 서울 강남권은 없지만 광명·시흥지구가 가장 큰 규모인데다 하남 감일과 성남 고등지구 2곳은 강남권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관련기사 3면

 

3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5개 지구는 시범·2차 지구와 마찬가지로 도심 20㎞이내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 공장 및 창고 등이 난립해 개발제한구역으로서 보존가치가 낮은 지역이다.

 

이에 국토부는 이들 지역을 중소규모 위주로 개발하되 훼손지역이 광범위하게 산재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한 지역은 가용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대규모로 개발키로 했다.

 

전체 면적은 약 21㎢로 주택이 총 12만1천가구, 보금자리주택은 약 8만8천가구 공급이 가능하지만 광명·시흥에서 건설되는 주택 중 1단계 물량만 다른 3차 지구와 동시에 추진됨에 따라 전체 5개 지구에서 3차로 추진되는 물량은 약 4만가구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국토부는 이번 5개 지역에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면서도 입지여건에 맞게 주변과 조화된 주택지구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광명·시흥의 경우에는 난립된 공장·창고를 체계적으로 정비해 주거 외에 물류·산업 등 자족기능을 갖춤으로써 상대적으로 낙후된 수도권 서남권역의 거점도시로 개발키로 했다.

 

게다가 하남 감일, 성남 고등은 입지여건을 감안, 강남권의 주택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주거단지로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 구월은 저렴한 서민주택 공급이 필요한 지역으로 주변 공원 등과 연계해 입지여건에 맞는 친환경 녹색단지로 개발된다.

 

이 밖에 이번 3차 지구 추진과정에서도 시범·2차 지구와 같은 투기대책이 시행된다.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으로 투기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선제적 조치로 각종 불법행위를 원천에 차단한다는 게 국토부의 방침이다.

 

이를 위해 그린벨트가 아닌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발표 즉시 항공사진·비디오 촬영 등 증빙자료를 확보해 불법행위를 차단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발표 후 주민공람,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이르면 5월까지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고시하고 지구별 구체적인 물량, 토지이용계획 등 지구계획을 올 하반기에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