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구월 ‘3차 보금자리’로

인천서 첫 지정 … 광명·시흥 등 5곳 8만8천여 가구 공급

저렴한 가격으로 서민들의 내집 마련 기회를 대폭 확대시킨 보금자리주택 3차 사업지구 5곳이 선정됐다.★관련기사 3면

 

지난 1, 2차 때와 달리 서울 강남권은 없지만 광명·시흥지구가 가장 큰 규모인데다 하남 감일과 성남 고등지구 2곳은 강남권 수요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3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5개 지구는 시범·2차 지구와 마찬가지로 도심 20㎞이내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공장 및 창고 등이 난립해 개발제한구역으로서 보존가치가 낮은 지역이다.

 

이에 국토부는 이들 지역을 중소규모 위주로 개발하되 훼손지역이 광범위하게 산재돼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이 필요한 지역은 가용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대규모로 개발키로 했다.

 

전체 면적은 약 21㎢로 주택이 총 12만1천가구, 보금자리주택은 약 8만8천가구 공급이 가능하지만 광명·시흥에서 건설되는 주택 중 1단계 물량만 다른 3차 지구와 동시에 추진됨에 따라 전체 5개 지구에서 3차로 추진되는 물량은 약 4만가구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국토부는 이번 5개 지역을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면서도 입지여건에 맞게 주변과 조화된 주택지구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광명·시흥의 경우에는 난립된 공장·창고를 체계적으로 정비해 주거 외에 물류·산업 등 자족기능을 갖춤으로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수도권 서남권역의 거점도시로 개발키로 했다.

 

게다가 하남 감일, 성남 고등은 입지여건을 감안, 강남권의 주택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주거단지로 개발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 구월은 저렴한 서민주택 공급이 필요한 지역으로 주변 공원 등과 연계해 입지여건에 맞는 친환경 녹색단지로 개발된다.

 

이밖에 이번 3차 지구 추진과정에서도 시범·2차 지구와 같은 투기대책이 시행된다.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으로 투기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선제적 조치로 각종 불법행위를 원천에 차단한다는게 국토부의 방침이다.

 

이를 위해 그린벨트가 아닌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발표 즉시 항공사진·비디오 촬영 등 증빙자료를 확보해 불법행위를 차단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5월까지 지정·고시하고 지구계획을 올 하반기에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