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 오해 우려… 후보들 활용방안 고심
6·2 지방선거에 문자메시지를 통한 선거운동이 처음으로 도입됐지만 역효과도 만만찮아 후보들이 시점과 내용 등을 어떻게 정할지 고심하고 있다.
14일 인천시선관위에 따르면 6·2 지방선거 후보들은 예비후보로 등록한 후 한번에 직접 유권자 20명에 대해 무제한 문자메시지 발송이 가능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메시지는 최다 5차례까지 보낼 수 있다.
홍보물의 경우, 예비후보로 활동할 땐 선거구 세대수 10분의 1까지, 본 후보 등록후엔 모든 세대에 걸쳐 각각 한 차례 발송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6·2 지방선거에 선거구 당 후보 5명이 나온다고 가정할 경우, 유권자들은 투표일까지 1명 당 문자메시지 200통과 우편홍보물 80부 이상 등을 받게 된다.
유권자 입장에선 사실상 ‘문자메시지·홍보물 공해’로 여길 수 있을 정도다.
이에 각 후보 진영은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서 효과는 배가시킬 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송 시점을 놓고 묘안을 짜내느라 머리를 맞대고 있다.
시장 후보 A씨는 홍보 보다는 정책 제안을 받는 수단으로 문자메시지를 활용할 계획이다. ‘인천을 바꾸는 정책 공약을 제안해 주세요’라는 문구를 통해 홍보 효과도 거두고 시민들의 반응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구청장 선거에 나선 B후보는 “혹시 모를 당내 경선에 대비, 공심위 구성 전후에 집중적으로 보내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육감 출마를 준비 중인 C후보는 공천 이후를 공략할 계획이다.
C후보는 “본선 승리를 위해선 공천 이후가 적당하고, 유권자들로부터도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문자메시지를 잘 활용하면 상당한 성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일광기자 iks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