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중소상인 대규모 집회…골목 상권 갈등 재점화
지난해부터 이어진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과의 반목과 갈등이 또 다시 불거지고 있다. 대형유통업체가 ‘윈-윈’ 전략이라고 발표한 가맹점포 체제가 오히려 불씨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다고 업계 안팎에서는 보고 있다.
중소상인들은 오는 3월 10일 지난해부터 논란이 되어온 기업형 슈퍼의 골목상권 진출에 반대하는 전국 규모의 집회를 연다고 밝혔다.
지난해 1차 전국 집회에 이는 2차 전국 집회로 이 집회에는 상점 상인 뿐 아니라, 주유소, 서점, 제과점 등 각종 중소소매업 상인들이 모인다.
지난해 첨예한 갈등으로 치닫다 중소기업청의 사업조정신청 등으로 다소 진정 국면에 들어간 양측의 갈등이 다시 날카롭게 날을 세우고 있다.
다소 잠잠해지는 듯 했던 골목슈퍼 갈등에 불을 지핀 쪽은 대형유통업체 측이다.
대형유통업체들이 골목 상권 갈등의 해결책이자, 상생형 대안이라며 가맹점포 사업을 최근 선보였다. 그런데 이 대책이 오히려 중소상인들의 반발만 불러일으킨 것이다.
홈플러스는 이달 초 가맹점포 2곳이 개점했다고 밝혔다. 가맹점포 주인 역시 지역의 중소상인이라는 것이 홈플러스의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가맹점포 주인과 관련된 논란을 의식한 듯 자영업자 출신인 두 점포주의 이력도 자세하게 공개하고 있다. 관할청인 중소기업청도 기존 점포와 달리 가맹점포의 개점에 문제가 없다고 해석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12월 지역소상인을 최우선으로 가맹점주에 선정, 가맹점주 투자부담 최소화, 가맹점주 최저수익 보장, 폐업시 투자금 대부분 반환, 기존 프랜차이즈사업 대비 높은 수익률 등을 골자로 한 상생모델을 제시해왔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다시 들끓는 중소상인들의 정서다.
중소상인은 18일 오후 관련법 제정과 기업형 슈퍼 규제 등을 내걸고 대표단들이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간다. 대형유통업체들에게 더 이상 밀릴 수 없다는 절박함이 들어있다는 것이 중소상인 측의 설명이다.
중소상인은 대형유통업체가 상생모델이라고 내놓은 가맹점포 모델에 대해 수익성과 기존 상점의 생존권 문제를 들어 그간 강하게 반대해왔다.
더욱이 이번에 문을 연 가맹점포가 중소상인들이 입점을 반대해 사업조정신청이 내려진 지점에서 문을 열자, 중소상인들은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무늬만 가맹점포지 사실상 또 다른 형태의 기업형 슈퍼와 다름없다는 것이 중소상인의 시각이어서 대형유통업체의 입장과는 평행선을 긋고 있다.
또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 측과은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채널마저 수개월째 가동되지 않은 상태라,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 간의 반목을 가까운 시일 내 풀어낼 길은 요원해보인다.
해를 넘긴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상인 간의 골목슈퍼 갈등이 올해도 뜨거운 사회적 이슈가 될 전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