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가구 이상 감소

수도권 ‘1억 이하’ 아파트 전세

수도권에서 1억원 이하 전세 아파트 구하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금 상승세과 재개발 철거 등에 따라 올해 수도권 소재 1억원 이하 전세 아파트가 10만 가구 이상 감소했다.

수원·화성·용인 등 감소폭 커… 4월比 8.1% ↓

특히 수원시와 대기업 직장인 이주수요가 많았던 화성시, 고속도로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높아진 용인시 등의 전세 아파트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경기도와 서울, 인천 등 수도권에서 전셋값이 1억원 이하인 아파트 가구 수는 118만5천153 가구이다. 이는 전셋값 상승세가 시작되던 4월 129만193가구보다 10만5천40가구(8.1%) 감소한 수치다.

경기도는 최근 6개월간 87만2천969 가구에서 79만290 가구로 8만2천679 가구(9.5%)가 감소했는데, 수원시가 1만7천33 가구로 가장 많이 감소했고, 화성시(1만4천221 가구), 용인시(1만2천648 가구), 남양주시(1만24 가구), 구리시(4천684 가구), 군포시(3천213 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용인 풍덕천동 보원 80㎡형의 전셋값은 500만원 가량 상승해 9천500만원~1억원이며, 마북동 삼거마을 삼성래미안 1차 162㎡형은 500~800만원, 파주 교하읍 월드메르디앙 79㎡형 200~300만원, 현대아이파크1차 중대형은 500~800만원 가량 올랐다.

인천시는 같은 기간 25만9천780 가구에서 25만6천678 가구로 3천102 가구(1.2%) 줄었고, 서울은 지난 4월 15만7천444 가구에서 현재 13만8천185 가구로 반년 새 1만9천259 가구(12.2%) 줄었다.부동산써브 공재걸 연구원은 “하반기 수도권에서 5만 가구가 입주할 예정이기 때문에 전세난이 다소 해소될 전망이지만 전셋값이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고, 서울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 철거에 따른 이주수요 증가로 수급 불안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