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SK 와이번스 김성근 감독은 2005∼2006년 2년간 일본 롯데 마린스 코치 생활을 끝내고 돌아온 뒤 세이부 라이온스식 야구를 자신이 지향하는 야구의 모델로 거론했다.
김성근식 SK 야구의 원점에 있던 세이부는 2군 감독이던 와타나베 히사노부를 올해 1군 사령탑으로 승격시키고서 젊은 선수를 중심으로 빠른 발에 파워를 가미한 팀으로 거듭났다.
7년간 세이부 타선을 이끈 알렉스 카브레라를 오릭스로 떠나보냈지만 가타오카 야스유키, 구리야마 다쿠미 등 ‘테이블 세터진’은 한층 빠르고 정확해졌고, 나카지마 히로유키와 나카무라 다케야 등 중심 타선은 한층 강해졌다.
주로 1번으로 나서는 가타오카가 올 시즌 도루 50개로 퍼시픽리그 도루왕 타이틀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팀 도루(107개)는 리그 최다를 자랑하고 있다.
홈런도 나카무라가 46개로 리그 홈런왕을 차지함은 물론, 팀 홈런(198개)도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여기에 팀 평균자책점 리그 2위(3.86)의 투수진이 가세했다.
하지만 제아무리 강팀이라고 해도 약점은 있기 마련. 팀이 젊어지면서 나타난 현상 중 하나는 실책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세이부의 올해 팀 수비 실책은 98개로 퍼시픽리그 6개 팀 중에서 가장 많고, 마운드도 리그 두번째(1천324개)로 안타를 많이 맞았으며 폭투(56개) 횟수는 가장 많았다.
타자들은 롯데에 이어 두 번째로 희생번트를 적게 댔으며, 홈런을 노리다 보니 삼진을 당한 횟수는 가장 많았다.
방망이가 강해진 만큼 정밀함은 떨어졌다는 얘기다.
반면 SK는 홈런(리그 4위)보다는 안타(리그 1위)를 치고 나가 도루(2위)로 상대를 흔들어대는 팀이다.
한국시리즈에선 포수 박경완의 지휘 아래 두산 발야구를 꽁꽁 묶고 나서 ‘치고 달리는 야구’로 혼을 뺐다.
SK에 뜻하지 않은 소득은 세이부 주전 포수 호소카와 도루가 일본시리즈 도중 부상을 당해 6·7차전에 나오지 못했다는 점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SK의 치고 달리는 야구가 세이부 내야를 흔들어 대고, 이 여파가 마운드에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