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세대 체형 맞춘 패션 한복 인기
불편하고 고루하다는 이유로 젊은층으로부터 외면받아 오던 ‘한복’이 추석명절을 맞아 그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나이 들어 보이는 스타일에서 벗어나 개성을 살리면서 실용성을 강조한 한복의 등장이 그 이유.
‘박술녀 한복’의 박술녀 대표는 “올 가을 한복 경향은 세련되면서 화려하고, 고름은 짧고 저고리 기장은 길고 소매통은 좁아 실용성을 강조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며 “여기에 두 가지 색의 고름, 치마 등을 이용한 패셔너블한 디자인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무엇보다 한복의 좋은 점은 체형의 약점을 쉽게 보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박 디자이너는 “키가 작을 경우에는 저고리는 약간 짧게, 치마는 길게 하고 통통한 경우에는 저고리는 짙은 색상으로 차분한 스타일이 좋다”고 조언했다.
올 가을 자신의 체형에 맞는 추석빔을 준비해 편안하면서도 맵시있는 한복으로 한껏 멋을 내 보면 어떨까.
◇키가 작고 마른 체형
저고리를 치마보다 짙은 색으로 하되 전체적으로는 밝은 색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동색계열을 이용해 키를 커보이게 하면서 고름을 강조해 시선을 모으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또 치마는 길고 저고리는 짧게 하는 방법도 하체를 길어보이고 풍성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작은 무늬를 이용해 화사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것이 좋다.
◇키가 작고 통통한 체형
치마의 색상은 남색이나 진자주 등 어두운 색에 저고리는 동색계열로 하는 것이 좋다. 저고리의 깃은 조금 길게 달고 뒷깃도 내려서 달면 목선이 좀더 산뜻하게 드러난다.
◇키가 크고 마른 체형
치마통은 넓게 하면서 주름을 촘촘히 잡아 풍성한 멋을 강조한다. 저고리의 길이는 약간 길게 하고 품, 진동(소매에서 깃과 닿는 부분), 소매 등도 넉넉하게 한다. 금박이나 화려한 무늬를 넣거나 밝은색으로 상하를 다르게 배색하는 것도 좋다.
◇키가 크고 통통한 체형
저고리 색상은 짙은색으로 고른다. 소매끝과 깃, 섶에 다른색을 댄 삼회장 저고리(고름과 끝동만 다른 색의 천을 대어 지은 저고리)나 반회장 저고리(깃, 고름, 끝동에 다른 색의 천을 대어 지은 저고리)를 입어도 훨씬 날씬해 보인다. 저고리의 길이를 조금 길게 해서 키가 커보이는 것을 보완할 수 있다./윤철원기자 ycw@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