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의 제국 페르시아’기획특별전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 기획특별전은 지난달 22일부터 오는 8월 31일까지 개최된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이란국립박물관 등과 공동으로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 기획특별전을 지난달 22일부터 오는 8월 31일까지 개최한다.
이 전시는 약 3년간의 준비를 거쳐 열리게 된 것으로 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 한번도 공개되지 않은 페르시아와 이란의 문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기회로 마련됐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유물들은 이란국립박물관, 페르세폴리스박물관 등 이란의 대표적인 다섯 개 국립박물관의 소장품으로 구성되었다. 시기적으로는 이란고원에서 농경이 발달하면서 최초의 도시들이 탄생하는 기원전 5천년기에서 사산왕조가 멸망하는 7세기에 이르는 기간을 아우른다. 전시품은 문명의 초기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채색토기에서 사산왕조의 금속공예품에 이르는 204점의 이란문화재와 경주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유리잔, 황금보검 등 실크로드를 통해 페르시아지역과 교류된 18여점의 우리문화재로 구성된다.
전시는 기획전시실 두개를 모두 이용하는데 1실에서는 ‘페르시아의 황금’이라는 주제로 대형 금제용기들이 선보이며 각종 보석과 금, 은으로 만들어진 장신구들도 보여준다. 특히 이란국립박물관 최고의 소장품이자 이란을 대표하는 국보인 금제뿔잔이 포함된 하마단 황금보물과 정교한 세공이 눈길을 사로잡는 의식용 금제그릇들이 주목된다. 그 외에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에서 신분과 증명을 상징하는 다채로운 인장들과 아케메네스왕조에서부터 사산왕조까지 만들어진 금화와 은화가 같이 전시됐다.
2실은 이란과 페르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통시적으로 조망하도록 조성됐다. 곡물을 저장하는 거대한 토기부터 아리안 민족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다양한 상형토기, 루리스탄청동기로 대표되는 금속유물, 메소포타미아지역의 국가와 긴장과 교류를 통해 성장한 엘람과 메디아왕국을 살펴본다. 이후 전시실의 중심부에 페르시아 세계제국을 세운 아케메네스왕조의 유적과 유물을 배치하였고 그 뒤로 파르티아, 사산왕조 페르시아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전시의 마지막 부분에는 신라시대 경주에서 출토된 다양한 페르시아와 서역계통 유물을 진열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이루어진 동서교류의 양상을 볼 수 있도록 했다. /글 김창우기자· <자료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자료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