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시설, 누구 위한 시설인지 따져봐야

안산시가 정부의 방침에 따라 종합장사시설인 ‘안산추모공원(Ansan Memorial Park)’ 유치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위치가 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소로 특정 지역이 이미 확정됐다는 유언비어들이 유포되면서 관련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서고 있다.

시는 장례문화가 매장에서 화장중심으로 확산되고 화장의 수요에 비해 장사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판단, 안산추모공원 입지 선정을 위한 설명회를 여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5월25일 개정·공포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은 각 자치단체들이 주민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장시설을 갖추도록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전문가들과의 마라톤 회의에 이어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주민들을 대상으로 천막토론회를 열고 여론들을 수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입지 선정이 끝나고 특정 지역이 선정됐다’는 식의 확인되지 않은 유언비어들이 확산되면서 관련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아직 추모공원 조성과 관련해 확정된 것들이 없는데도 특정 지역 주민들이 집회를 여는가 하면 추모공원 반대를 위한 플래카드를 내거는 등 주민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배경에는 정치적으로 이를 악용하려는 세력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우리 지역에 혐오시설이 들어서려는 것을 내가 막아 냈다”며 주민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왜곡된 유언비어들은 시가 추진하는 추모공원 선정사업의 본래 취지에도 어긋나는데다 정부의 방침에도 반하는 일이다.

이같은 일에 특정 인사들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정략적으로 주민들을 우롱하고 있다면 주민들이 그를 심판해야 한다. 이번에 추진하는 안산추모공원은 주민들의 동의 없이는 부지로 선정할 수 없으며, “현재 공모가 진행중”이라고 시 관계자가 밝히고 있는 만큼 성급하게 손익을 따질 게 아니라 누구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라면 전체를 위한 이익이 무엇일지 좀 더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