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연구회 7일 ‘문화유산 보존…’ 국제학술세미나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이 제대로 보존되기 위해선 법에 의해 뒷받침되는 관제형 내셔널트러스트(NT)운동과는 별도로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방식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풀뿌리 NT운동이 활성화돼야 하되, 초기단계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선도적인 견인역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오는 7일 문화재청과 문화유산국민신탁 등이 주최하고 (사)화성연구회가 주관한 가운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경기도문화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열릴 국제학술세미나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민간 참여운동의 현황과 과제’에서 주제 발표할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5일 미리 배포한 자료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조 교수는 이어 “보전을 위한 재원 형성과 획득된 보전자산 관리는 지역 주민들의 최대한 참여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양도세 납부 대신 자산기증, 소득·이윤·매출액의 일정액을 NT에게 기부 등 제도화가 강구돼야 하고 신탁방법도 소유권의 획득이나 임대, 보전협약 등으로 다양화하되, 지역 실정에 맞는 방식이 최대한 활용돼야 하며 당분간 소유권 획득보다 보전이 필요하지만 민간이 소유한 자산을 임대하거나 소유권자와 보전협약을 맺는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키우치 에미코 일본 국립정책연구대학원 문화정책연구소장도 미리 보낸 주제발표 원고를 통해 “일본도 많은 지방정부들이 각 도시의 역사적 분위기를 보전하고 사적지를 이용하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며 다양한 조직체들이 등장해 문화재 보호에 활발히 개입하기 시작했다”며 “문화유산 보존의 핵심 지원자는 관광객, 운동가, 소비자, 또는 투자자인 지역 주민 등으로 이러한 노력이 더욱 힘을 얻으려면 민간 주도방식이 더욱 존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이밖에도 김동훈 (사)화성연구회 부이사, 앗소 쓰치야 일본 시가현립대 교수, 자비엘 그레프 소르본느대 교수, 강임산 문화재청 전문위원, 코이니치 맥린 스코틀랜드 내셔널트러스트 부집행위원장 등의 논문들도 발표된다. 심포지엄은 개회식에 이어 안병우 한신대 사학과 교수 사회로 제1부 ‘문화유산 보존, 민간참여운동의 역할과 전략’을 주제로 각국 참석자들이 발표하고 오후 1시30분부터 진행되는 제2부에는 ‘국가별 문화유산 보존 민간 참여운동’에 관한 사례발표가 이어지며 제3부 ‘문화유산 보존 민간참여 운동의 과제’를 주제로 정희섭 한국문화정책연구소장과 허권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 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토론이 펼쳐진다.
한편 (사)화성연구회는 ‘화성사랑’을 기치로 내걸고 지난 1998년 5월 출범해 현재 회원 120여명으로 역사학자와 공직자, 언론인, 교수와 교사, 의사, 사업가, 건축가, 도시계획 전문가, 문인, 문화유산 해설사 등 다양한 계층의 인사들로 구성됐다.
문의 (031)226-7223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내셔널트러스트란?>내셔널트러스트란?>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금이나 기부·증여를 통해 보존가치가 있는 자연자원과 문화자산을 확보하여 시민 주도로 영구히 보전·관리하는 시민환경운동이다. 19세기 영국에서 처음 시작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