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통장 총사퇴 의미

지방자치시대의 최전방 행정조직인 이·통장과 주민자치위원, 새마을지도자 등이 총사퇴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이천에서 벌어졌다.

국방부와 토공이 추진하고 있는 특전사와 기무부대 등의 이전계획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지난달 11일 이후 고조돼 온 주민들의 반발이 지난 3일 이들의 집단사퇴를 몰고 왔다.

행정의 일선조직으로 행정부서와 주민들간의 가교역할을 하면서 지방자치시대의 중요한 축을 담당해오던 이·통장 379명, 주민자치위원 343명, 새마을지도자 769명 등이 사퇴하면서 일선행정 공백이 불가피해졌다.

관(官)에 얽매이지 않고 순수한 민간인 신분으로 돌아가 지역으로의 일방적인 군부대 이전을 막기 위해 목숨을 걸고 투쟁하겠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유를 막론하고 비상사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6개월여 동안 하이닉스반도체공장 증설문제로 행정의 반을 소비해 온 이천시가 또 다시 군부대 이전문제에 매달려야 하는 상황이 애처롭기까지 하다.

반대투쟁 지도부가 “일신상의 불이익도 감수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민심이 흉흉한 이러한 시점에서 이천시의 현명하고 냉정한 대처가 그 어떤 시기보다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공무원들은 심기일전해 시장을 중심으로 빈틈없는 행정수행은 물론 군부대 이전문제의 최상의 선택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정립해야 한다.

국가안보라는 명분과 싸워야 하는 힘겨운 상황에서 시간에 맡기는 자세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이천시의 해결책을 기대해 본다.

/김태철 kimtc@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