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 부추기는 환경부

한강수변구역 시설물 철거후 지하수 폐공은 방치

환경부가 한강수계 수변구역의 토지와 건축물을 매수한 뒤 시설물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식수와 생활용수로 사용하던 지하수시설을 폐공하지 않은 채 방치,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5일 환경부와 수변구역 주민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수질보전을 위해 지난 2004년부터 2천300여억원을 투입, 양평군을 비롯, 가평군, 용인시 등 한강수계 지역에 대한 토지매수를 추진해 왔다.

그러나 지난 2005년과 지난해 초 환경부가 매수한 양평군 강하면 전수1리 일대의 누수파 찜질방과 강변이야기 음식점, 싱가폴·베니스 모텔, 양서면 대심리의 주택 등은 철거가 됐으나 ‘지하수개발 이용종료(폐공)’ 절차를 밟지 않은 채 현재까지 방치되고 있다.

누스파 찜질방의 경우, 폭 200㎜의 중대형 관정 3개소가, 강변이야기는 중대형 관정 2개소, 모텔 2곳도 각각 같은 규모의 관정 1개소가 그대로 노출된 상태다.

김수기 전수1리 이장(46)은 “정부가 매수한 토지의 지하수시설을 방치한다는 것은 수질보전은 커녕 오히려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행위”라며 “철거공사 때 현장에 수없이 찾아가 폐공을 촉구했는데도 이같은 사태가 계속된 것은 환경부의 현장확인이 전무했음을 보여 주는 것”고 지적했다.

군 관계자는 “환경부에 폐공 독촉 공문을 보내 철거한 사례가 있는 만큼 폐공절차를 이행치 않은 토지매수지역이 더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철거업자와 지하수 개발업자가 달라 별도로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하수 시설의 폐공절차가 늦어졌다”며 “곧바로 지하수 시설의 폐공업자를 선정, 올 상반기 중 폐공절차를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다./양평=조한민기자

hmch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