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안산시가 매립이 끝난 시화 광역쓰레기 매립장 소유권 이전문제를 놓고 입장차를 보이며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화 광역쓰레기 매립장은 지난 89년 경기도가 도내 8곳에서 발생되는 생활쓰레기를 매립하기 위해 안양·과천·의왕시 등 자치단체 8곳이 공동으로 예산을 투입,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 665 시화호 상류에 14만8천평 규모로 조성됐다. 이곳에 매립된 생활쓰레기는 대략 430만t.
매립이 끝난지 12년이 지난 지금도 쓰레기 매립장에선 가스가 분출되고 악취로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침출수가 발생, 안산시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직원을 배치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안산시는 최근 김문수 도지사 방문시 “안산시가 활용방안을 제시할 경우 주민들 입장에서 적극 검토하겠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밝혀 소유권 이전에 한층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안산시를 제외하고 예산을 부담한 자치단체 7곳과 협의를 거쳐야 하고 매립장 매립면허 신청을 도지사가 요청, 소유권이 경기도로 되어있기 때문”이라며 소유권 이전이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따지고 보면 매립지 조성에 참여한 자치단체 7곳은 처리비용을 부담하게 된 것으로 해석해도 무리는 없고 소유권이 경기도에 있을 경우 아무런 사업도 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소유권은 안산시로 돌려주는 방안이 합리적이다.
그동안 안산 시민들은 쓰레기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로 고통을 감내해온 만큼 그들에 대한 보상차원에서라도 실정에 맞는 친환경적 생태공원이나 공원, 아니면 공단과 연계한 시설을 유치하는 방안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경기도는 이제 더 이상 매립지 소유권 문제를 행정적으로 풀려 하지말고 어려움을 참아준 시민들에게 배려하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안산=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