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수원시의 지원을 받아 택시업체들이 운영하고 있는 장애인복지택시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아 장애인들로부터 비난(본보 13일자 4면)을 사고 있는 가운데 시가 업체방문 등 실사도 없이 업체측 의견에만 의존한 채 추가지원을 계획, 주먹구구식 행정이라는 지적이다.
13일 수원시와 지역내 택시업체 등에 따르면 수원시는 최근 장애인단체 등으로 부터 ‘장애인복지택시에 대한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등의 민원을 접수, 지난달 관련 사업계획서를 작성했다.
‘장애인복지택시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이란 제목의 이 계획서에는 ‘예약제 운영, 결행 등으로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없다’, ‘장애인 이용율이 낮고, 수익이 적어 업체의 운영의지가 적다’는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 업체측의 운영적자분을 전액 보조해줌으로써 전담운전자 배치, 운행시간 준수 등 실질적인 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시는 실사과정을 거치지 않고 ‘운영이 어렵다. 적자만 생긴다’는 등의 업체측 의견을 그대로 반영 계획서를 작성, 실질적인 장애인들의 이용은 배려치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시는 실사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이용자가 없어 수익이 안된다’는 등의 업체측 의견을 그대로 받아들여 추가 지원까지 계획하는 등 지원방안까지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업체들은 대기차량이 있으면서도 장애인들에게 ‘이용객이 많아 이용가능 차량이 없다’며 묵살하는 한편 시에는 ‘이용객이 없어 운영이 힘들다’고 속여왔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장애인단체 관계자는 “시에 장애인단체 이용과 관련 수차례 민원을 제기했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차라리 복지택시제를 폐지하고 사회복지단체 등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최근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계획서를 작성한 것은 복지택시를 활성화하기 위함”이라며 “조만간 택시업체 등의 실사를 통해 지원 또는 폐지 등의 방안 등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대현기자 dhkim1@kgib.co.kr
속보>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