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환경영향평가 요구 수차례 묵살
<속보> 수원시가 준공업지역과 인접한 영통 현대 아이파크에 대해 주변 환경도 고려치 않은 채 사용승인을 내줘 논란(본보 29일자 5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준공업지역내 공장들이 사용승인 전 수차례에 걸쳐 수원시에 환경영향평가를 요구했지만 묵살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아파트 입주가 진행된 뒤 공장들은 수천~수억을 들여 소음·분진 대책마련 공사를 하게 되면서 수원시가 예측된 민원을 방기해 공장만 피해를 보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29일 수원시와 준공업지역내 공장 등에 따르면 지난 70년대부터 영업해 온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준공업지역내 5개 공장들은 아이파크 사용승인허가 전인 지난 5월부터 ‘소음·분진 등의 문제로 영통 아이파크 입주자와 공장간 분쟁이 예상된다’며 수차례에 걸쳐 수원시에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를 요구했다.
그러나 수원시는 ‘영통 아이파크의 경우 대지조성사업 면적이 30만㎡이 되지 않아 환경영향 평가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당 공장들의 요구를 묵살한 채 2개월 후 사용승인을 내줬다.
이에 따라 아파트 입주가 진행되면서 입주민들의 항의가 거세짐에 따라 용인시가 공장들에 대해 소음도와 분진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으며, 이로 인해 각 공장들은 소음방지를 위해 바닥을 새로 깔고 분진망을 설치하는 등 5천만원~3억원 상당의 비용을 추가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K레미콘 관계자는 “수원시가 아무런 조치없이 사용승인을 강행, 피해자들만 양산하고 있다”며 “이는 20년 넘게 한곳에서 어렵사리 운영하고 있는 중·소 공장들에게 문을 닫으라는 처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민원이 제기됐던 것은 사실이나 영통 아이파크가 환경영향평가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하지 않은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최석호기자 shchoi@kgib.co.kr
속보>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