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가 해를 향해 뻗는 것은 태생적으로 당연한 이치이지만 비유적으로 사용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특히 그것이 ‘해바라기 행정’일 때는 더욱 그렇다.
경기도가 최근 ‘농촌사랑 1촌1사 자매결연 운동’을 위해 대대적으로 팔을 걷어 붙였다(본보 22일자 11면). 과(課) 단위 기준 전 부서는 물론 도내 대학 및 기업까지 적극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1촌1사 자매결연이 도·농상생이란 캐치프레이즈 아래 지난 2004년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됐다는 점에서 본다면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공무원 스스로 농촌사랑운동에 동참한다는데서 남다르다. 과거보단 못할지라도 사회기강의 모범이 되는 공직사회가 농촌사랑에 솔선수범한다는 소식은 여타 기관에도 적지 않은 파급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웬지 씁쓸하다. 돌이켜 본다면 도 농정국은 실상, 이미 자매결연을 시작한 바 있다. 1년여 전 ‘1촌1사 자매결연사업 추진’이란 계획으로 도내 농촌체험관광마을과 기업간 자매결연에 나섰다. 결과는 용두사미(龍頭蛇尾)였다. 주관 기관인 농협측에 도내 기업 리스트를, 관내 시·군에 협조공문 등을 띄운 게 고작이었다. 이유는 도 주관이 아니어서, 다만 측면 지원만 했을 따름이란 것이다.
그런데 1년여가 지난 지금, 자매결연때문에 주무국인 도 농정국은 분주하다. 야심찬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움직임도 움직임이지만 1회성에 그치지 않고 도·농상생 의미를 온전히 살려야 한다는 의욕에 들썩이기까지 하는 모습이다. 같은 맥락의 의미를 지닌 자매결연이지만 1년여 전과 후가 너무도 다르다. 씁쓸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번 자매결연의 도화선은 지난 7월 도 실·국장회의 때 나온 김문수 지사의 지시사항이란 것이다. 길게 언급하지 않아도 ‘기왕에 좋은 일 하는 것’, 결국 농정국이 해바라기 행정을 펼쳤다는 비난은 감당해야 할듯하다.
/박노훈기자 nh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