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의원의 양·가평 참패책임론

양평군의 무소속 군수 재선으로 정병국 국회의원(한나라당)의 참패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한나라당 싹쓸이 열풍 속에서도 자신의 지역구인 양평·가평에서 4년전 낭패를 재탕하며 군수를 모두 무소속 후보들에게 내준 책임을 놓고 정 의원의 ‘3선 불가론’마저 일면서 당내는 물론 낙선 후보와 당 지지자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욱이 4년 전과 별반 다를바 없는 67%대 이상의 정당 지지도로 파격적인 당 프리미엄을 구가하면서도 도내 비 한나라당 출신의 단체장 4곳중 자신의 지역구인 양평·가평 2곳에서 연속으로 물을 먹었다. 한나라당은 당초 가평 양재수 군수 영입을 놓고 접근을 시도했지만 공천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한 채 입당과 공천심사 과정으로 유도했다는 점에서 양 군수 영입 공천도 실패담으로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정 의원은 4년전, 모든 당원들의 후보 경선을 치르고 모두 본선에서 실패한 뒤 이번에는 일부 당원들의 투표 경선과 심사에 의한 공천 등으로 변화를 꾀했지만 결국 이마저도 실패하고 말았다.

오히려 경선은 당내 후보와 지지자들 사이의 깊은 골만 남긴 채 추락했다.

당원들은 국회의원의 지역구 관리 소홀과 전략공천 거부에 따른 경선 후유증, 중앙당 인사의 이벤트성 선거운동 등에 지나치게 의존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전형적인 시골정서인 지역구에 ‘따듯한 가슴’과 정서로 다가가지 못한 채 본인의 성장과 발전 등에 지역이 소외되는 느낌도 한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양평출신 맹형규 전 국회의원의 서울시장 후보 중도하차 또한 정병국 국회의원이 오세훈 당선자를 영입하는 선봉에 섰다는 논리로 일반화되면서 오히려 역적으로 오해받은 형국은 결국 지역정서에 덜 부합된 정 의원에 대한 주민의 소외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조한민기자 hmch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