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정당 기초의원 공천이 확정된 A 후보가 사법당국으로부터 조사받고 있다”. “모 정당 시장 후보로 B씨가 확정됐다”. “공천을 신청한 C씨가 모 정당 시장 후보로 내정됐다”
5·31 지방선거에 나설 후보들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면서 지역 정가에서 공공연히 나돌고 있는 말들이다.
A 후보는 사법기관 근처에도 가 본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고 공천 심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정당에서 어떻게 후보로 B·C씨를 확정·내정할 수 있겠는가. 객관성과 설득력이 모두 떨어지는 헛소문들이다. 자유당 시절과 군사정권 때 마타도어(흑색선전) 망령이 2006년 지방선거에도 그대로 살아나 널뛰고 있는 것이다.
5·31 지방선거로 가는 길목에 서 있는 일부 후보 진영이 의도적으로 흑색선전을 만들어 은밀하고도 치밀하게 유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당내 공천이나 경선에서 이겨야 하는 절박한 처지에 놓인 후보들이 상대편 흠집내기에 열을 올리는 구태정치를 답습하고 있다. 선거판은 공천이나 경선 등을 둘러싼 잡음과 불복, 탈당 등으로 더욱 혼탁, 가열될 게 뻔하다. 이럴 때 유권자들은 어떤 잣대를 갖고 최적의 후보를 선택해야 할까. 시민단체들을 중심으로 일고 있는 매니페스토 운동을 생각해 볼만하다.
매니페스토는 후보가 유권자들에게 제시하는 선거공약과 구체적인 실천계획 등까지 담고 있다. 유권자들은 후보들이 내세운 공약이 실현가능한 지 등을 꼼꼼히 비교, 분석한 뒤 깨끗하고 참된 일꾼을 뽑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학연이나 지연, 흑색선전 등이 난무하는 굿판을 걷어치우는 선거혁명을 이뤄낼 때 자치단체 미래가 있는 것이다. 시민들이 나서야 한다.
/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