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31 지방선거가 불과 100여일 앞으로 다가와 지역정가는 벌써부터 뜨거운 선거 열풍에 빠져들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선거에 대한 관심은 다른 한편에서 돈 선거, 흑색 선거, 불법 선거 등 혼탁 선거에 대한 걱정으로 이어진다. 이번 지방선거는 특히 지방의원의 연봉제 도입으로 과거 그 어느 선거보다 돈 선거에 대한 우려가 크다.
특히 언론은 공천받기 위해 정당 등에 납부할 공천비용이 책정된 것처럼 보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구나 특정 지역에서 지지도가 높은 정당의 경우 이 같은 금권 공천과 비리가 더욱 우려되고 있다. 선관위도 각 정당 후보 경선과정에서의 불법 행위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역설적으로 이러한 언론과 국민들의 우려는 공명선거가 정착되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무엇보다 유권자들과 선관위가 과거의 불법 선거행태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방의원 연봉제 도입으로 전문직 등 기존 정치에 때묻지 않은 많은 정치 신인들의 대거 지원도 공명선거에 일조할 것임에 분명하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상황에서도 공천과정 부정은 어둠을 틈 타 고개를 내밀 것이다. 따라서 이번 지방선거가 정말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가 되기 위해선 공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당의 당원협의회 위원장과 공천심사위원 등의 공명선거에 대한 의지가 중요한 포인트다.
필자의 경우 지역구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으로 올해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어야 한다는 책임감에 앞서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인 기준과 절차에 의한 후보를 선정해야 한다는 의무감을 갖고 있다. 올바른 기준과 절차를 통해 선정된 후보라면 선거에서의 승리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결과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가 속한 지역 지방의원 및 자치단체장 후보 선정은 시당 공천심사위원회 심사에 앞서 지역의 여러 당 내외 인사들로 구성된 가칭 후보추천인사위원회를 통해 자질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선 후보들의 지방의원 및 자치단체장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에 대해서만 철저한 검증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예가 될 수도 있고 적절한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점은 정치인 스스로의 공명선거에 대한 확고한 의지다. 이러한 의지가 있을 때 공명선거가 정착되고 우리 정치도 한 단계 발전함과 아울러 그동안 국민들로부터의 외면에서 벗어나 신뢰와 사랑을 받게 될 것이다.
/윤 상 현 한나라당 인천시당 정책위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