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국산 공포영화 四色.인 디스 월드

올 들어 일찌감치 선보인 일련의 일본과 할리우드산 공포영화들이 애피타이저였다면 7-8월에는 한국 공포영화들이

메인 디시로 잇따라 등장한다. 2005년 여름을 서늘하게 할 ‘국산 공포영화 四色’을 소개한다.

국내 대표적인 투자·배급사 네 곳이 각각 한 작품씩을 꿰차고 여름 라인업에 올려놓아, 작품 이면의 대결도 흥미를 끈다.

또 하나. 네 작품 모두 ‘여인천하’라는 점도 특징이다.

구두 가발 첼로...목소리...악!

‘분홍신의 저주’ 신으면 죽는다

▲분홍신(감독 김용균, 제작 청년필름)=지난 1일 가장 먼저 스타트를 끊었다.

영화는 무엇보다 다소 부담스러운 김혜수의 이미지를 깔끔하게 희석시켜 그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포스터 속 그의 커다란 눈이 공포와 매치가 잘된다.

안데르센의 동명의 동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이 영화는 분홍신을 손에 넣은 후부터 알 수 없는 공포에 시달리는 인물들의 이야기다. 우연히 주운 분홍신 때문에 점차 무서운 악몽에 시달리던 선재(김혜수 분)는 후배 미희가 분홍신을 신고 나간후 발목이 잘린 시신으로 발견되자 분홍신의 실체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날 부르는 죽은 친구의 속삭임

▲여고괴담4:목소리(감독 최익환, 제작 씨네2000)=‘여고괴담’은 한국의 성공한 공포 시리즈로 한국을 넘어 아시아권에서 유명세를 타고있다. 벌써 네번째 작품이 나왔으니 이만하면 확실한 브랜드 파워.

‘여고괴담’ 시리즈는 1편(1998년)이 전국 250만명을 모으며 대박을 기록했고, 2편(1999년)은 60만명, 3편(2003년)은 180만명을 각각 모았다. 여학교를 무대로 한 콘셉트가 주타깃인 학생관객들의 심리를 제대로 공략한 것. 제작사 씨네2000을 늘 위기에서 구하는 효자 상품이다.

제4편은 어느날 죽은 친구의 목소리를 듣게 된 한 여고생이 죽음의 비밀에 다가서다 맞닥뜨리는 끔찍한 공포를 다룬다. 부제가 ‘목소리’인 만큼 소리에서 오는 공포에 주안점을 뒀다. 이번에도 신인들로 승부수를 띄웠다. 15일 개봉.

기억을 머금은 머리카락 공포

▲가발(감독 원신연, 제작 코리아엔터테인먼트)=누군가의 기억이 담긴 가발이 탐스러운 머리를 원하는 수현(채민서 분)의 손에 들어온 후부터 수현-지현(유선분) 두 자매에게 일어나는 공포를 그린다. 8월 12일 개봉.

‘마파도’로 상반기 극장가에 파란을 일으킨 코리아엔터테인먼트가 대단히 자신있어 하는 작품이다. 앞서 개봉한 ‘분홍신’과 언뜻 봐서는 콘셉트가 비슷해 보여 후발주자로서 불리한 것이 아닌가 싶지만 코리아엔터테인먼트는 “전혀 다른 작품이다. 작품성으로 승부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 모발과 전혀 차이가 느껴지지 않아 스크린 속 가발과 실제 머리카락을 비교해보며 관람해도 흥미로울 듯.

섬뜩한 첼로 선율… 너가 죽였니?

▲첼로(감독 이우철, 제작 영화사태감)=여름방학의 끝자락에 개봉하는 마지막 주자로 8월 18일에 개봉한다. 지난 5월 17일 크랭크 인 한 까닭에 현재 초스피드로 촬영이 진행 중이다. 웬만해서는 개봉일을 맞추기 힘든 스케줄이지만 몸집이 가벼운 기획영화의 장점을 극대화해 쓸데없는 욕심은 부리지 않고 있다.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 ‘주홍글씨’로 차근차근 필모그라피를 다져나가고 있는 성현아가 단독 주인공을 맡아 독을 품었다. 극중 그는 두 딸을 둔 첼리스트로 젊고 예쁜 엄마이자 조용하고 지적인 음대 강사다. 영화는 단란하고 평온한 생활을 하던 그가 어느날부터 겪게 되는 공포를 그린다.

>>인 디스 월드

희망찾아 삼만리

파키스탄 북서부의 샴샤투 지역에는 5만여명의 아프간 사람들이 살고 있다. 이곳 난민들이 배급 받는 식량은 밀가루 480g, 식용류 25g, 콩 60g 뿐. 지급 받은 텐트 속에서 담요 세 장과 난로 한개를 가지고 추위를 피할 수 있다.

영화 ‘인 디스 월드’(In This World)의 주인공인 고아 소년 자말(자말 우딘 토라비)도 이들 중 한 명이다. 벽돌 공장에서 일하는 그가 하루에 받는 돈은 1달러(약 1천원) 미만. 어쩌면 평생 이 곳에서 살아야 할지도 모르는 그는 이제 막 그 운명을 벗어나려하는 찰나에 있다. 바로 사촌 형 에나야트(에나야툴라 자무딘)와 함께 런던행 여정을 떠나는 것. 영어 통역이 그가 동행하는 명분이다.

2003년 베를린 영화제에서 황금곰상을 수상하며 환호를 받았던 ‘인 디스 월드’가 8일 한국 관객들을 만났다.

당시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격 막바지라는 시대적 분위기가 영화를 화제의 중심에 서게 했지만 영화가 최고상을 수상한 것은 인물들 틈에 깊숙이 들어가 있는 감독의 카메라 덕분이다.

비행기 한 번이면 쉽게 갈 수도 있을 법 하지만 난민 신세의 두 사람에게 가능한 방법은 육로를 통한 밀입국이다. 위험천만한 여행이 될 것은 눈에 보일 듯 뻔한 일. 하지만 가난과 배고픔에서 벗어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인지라 이들은 먼 길을 떠나게 된다.

흥분과 두려움이 공존하는 낯선 땅. 조력자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순박해 보이는 이들을 이용하려는 사람들이다. 목적지에 데려다 주기로 한 브로커는 돈만 챙겨 달아나고 부패한 관리는 뇌물을 요구하며 곳곳에는 검문소가 지키고 있다.

만나게 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언어가 달라 말이 통하지 않는 자들. 자말과 에나야트는 버스에 숨어서, 혹은 걷거나 트럭의 바닥에 붙어서 힘겹게 계속 나아간다. 이란을 걸쳐서 간신히 터키에 도착해 일자리를 구하며 잠시 시름을 잊은 두 사람. 하지만 이들 앞에는 다시 컨테이너 박스에 갇혀 수십시간을 지내야 하는 위기가 기다리고 있다.

파키스탄에서 런던까지의 로드 무비 형식을 띠고 있는 이 영화는 인물들에게 일어나는 소소한 에피소드와 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는 관객들에게는 가슴을 헤집는 고통으로 다가온다.

로드 무비 특유의 이국의 풍광을 즐기는 철없음에서 시작한 영화 보기는 흐뭇한 웃음과 비정한 현실에 대한 분노를 거쳐 결국 비통함으로 절규하는 데 이른다.

영화는 다큐멘터리와 극영화 사이의 어디엔가에 위치하고 있다. 카메라는 인물들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거리를 두고 있고, 스토리에 따라 연기하고 있지만 배우들은 실제로 평생 동안 파키스탄 밖으로 벗어난 적이 없는 진짜 난민들이다. 15세 관람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