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10일 출범한 인천문화재단이 출범 100일을 맞는다. 출범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기에 공식 출범을 전후하여 지역 언론들은 다양한 내용의 기사를 시민사회에 공급했고, 출범 이후 100일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에도 적지 않은 사건들이 지면을 장식한 것은 그 만큼 재단에 대한 인천문화계의 관심이 크다는 방증이다.
반면 재단은 이러한 관심을 얼마나 수렴해 왔고 재단을 잉태한 인천시는 재단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해 왔는지 점검해 볼 필요는 있다.
재단의 그간 활동을 보면, 재단 직원 채용, 대중가수 초청공연 등으로 기획한 출범식 개최, 새로운 심사방식을 채택한 문화예술육성지원금 배분사업, 문화관광부 지정 학교문화예술교육사업 신청 및 이사회 개최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활동이 순조롭게 평가받고 끝난 적이 없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들 재단 활동의 대다수가 인천시의 직간접적 개입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는데 주목해야 한다.
인천시민사회는 재단이 민간중심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먼저 1천억기금 조성을 통한 재정적 기반 확보이며, 조직운영의 민간중심체계 구축을 통한 자율성 확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 쟁점을 두고 각 집단간 다양한 이해관계와 견해들이 충돌해 오다 지금에 이른 것이다.
결국 재단의 우선적 사업과 과제는 대중가수 동원 출범식도 문화예술육성지원금 배분도 아니었다. 최소한 다양한 견해의 통합과 재단의 사업 및 방향에 대한 공통분모 찾기였다.
오히려 일각에서 주문하는, 출범 1년간은 재단의 자리매김을 위한 과정으로 지켜봐야 하며 재단은 지역문화계의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는 과정을 밟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지지세력의 확보 및 통합 노력이 행정으로부터 인사·조직·재정·사업 등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빠른 시간 내에 확보하고 안착시키는 지름길이 될 것이라 본다. 이러한 전제에서 시민사회는 시가 기금조성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등 재단의 안착노력을 지원해야 한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