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정부의 평택지원대책문제를 놓고 평택시가 입장을 표명한데 이어 주민들도 단 1평도 내줄 수 없다며 반대 수위를 높이고 있다.
국무총리실 주한미군대책기획단과 국방부 등은 용산 미군기지와 미2사단 평택 이전을 발표하면서 지역 개발을 위해 1차로 사업 14건을 지난해 12월 정부에 건의했고 2차로 지난 3월 9건을 정부에 요청했다. 이중 15건은 10년동안 2조5천억원이 투입되고 예산이 수반되지 않는 사업은 관련 부처간 조정회의 등을 통해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정부에 건의한 사업에 대한 최종 결과는 이달중 주한미군 대책위 의결을 거쳐 발표된다.
그러나 도두·신대리 대양학원 간척지문제와 전투기 소음피해대책 등이 제외돼 정부의 토지 매입시 제2의 부안사태가 우려된다는 게 주민들의 지적이다.
여기에 정부가 제시한 대책중 편입 지역 주민들의 이주 및 생계 대책과 공여지 재정 손실 보전, 한국문화체험관 건립 국비 일부 지원 등을 제외하면 평택항IC를 비롯, 평택항 투자, 고속전철 역사 건립, 국제평화도시 조성 등은 대부분 검토 및 조사결과에 따라 건설 여부가 결정돼 사업의 확정여부도 불투명하다.
특히 정부 허가를 받아 주민들이 간척한 도두·신대리 일대 간척지중 34만평은 법정싸움에서 주민들이 패소한 상태지만 주민들은 정부가 허가해 간척사업을 추진한만큼 정부가 보상해줘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K-55 미군기지 주변인 서탄면 일대 주민들도 그동안 전투기 등의 소음 피해 조사에서 이주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만큼 보상과 이주대책 등이 제시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군기지 이전을 위해선 주민들의 아픈 곳을 어루 만져 주고 지역에 대한 뚜렷한 발전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주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대책 마련이 절실한 까닭도 이때문이다.
/최해영기자 hy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