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 우리나라 인터넷인구가 3천만명을 돌파했고 20대의 인터넷 이용률은 95%라는 언론보도를 접했다. 20대 초반의 병역의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병무행정에 있어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는 병역비리로 인한 투명성과 형평성의 요구, 정부 조직개편에 따른 병무행정의 독자수행, 정부의 전자정부 구현을 배경으로 인터넷과 전산시스템을 이용한 정보화를 필요하게 했다.
그리고 병무행정 정보화는 업무처리과정의 수작업에서 전산화로, 비공개에서 공개를 기치로 행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 제고와 고객의 행정편익 증대를 목표로 진행되었다.
1998년부터 시작된 새로운 정보화 작업은 모든 제도와 업무처리 절차를 제로 베이스에서 재검토해 9천여종의 프로그램과 주전산기, 서버, 고객지원시스템, 네트워크장비 등 총 3천300여대의 정보화장비를 갖추고, 병무행정 종합정보관리 시스템이 2002년 완성돼 지금까지 지속적인 보완과 수정을 통해 활용되고 있다.
첫째, 행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문서처리과정을 전산화하여 종이 없는 행정과 문서의 생산, 유통, 보존 등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신전자문서 시스템을 운영하고, 정부기관 최초로 전 직원에게 개인별 신분인식카드를 지급으로 업무처리 담당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실명화 하였다.
둘째, 행정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인터넷, FAX 등을 통해 접수된 민원서류의 접수에서 최종 처리까지 전 과정을 병무청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처리결과를 핸드폰 문자메세지 및 E-mail을 통해 통보하고 있다. 또한 입영일자, 징병검사 결과 등 각 종 병역의무이행 과정의 정보를 인터넷을 통한 24시간 서비스하고 있다.
셋째, 병무민원의 행정편익을 위해 전화를 통한 주민번호 입력으로 상담직원이 병역의무자의 모든 병역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 병무민원상담소를 운영하여 일평균 8천여 건에 달하는 민원상담을 처리하고 있으며 휴일 요청된 상담도 업무시작 즉시 답변하는 상담 예약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병무행정 정보화는 246개의 시·군·구 및 3천720개의 읍·면·동 병무조직의 폐지에도 불구하고 차질없는 업무수행과 하루가 다르게 높아가는 고객의 요구에 신속정확한 고객서비스를 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으며, 2000년 이후 한건의 병역비리도 없는 투명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임 낙 윤
인천경기지방병무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