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노인문제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국내 노인 인구는 4백20만여명이다. 전체 인구 4천600만여명에 비해 약 9%를 차지한다. 고령사회를 앞에 둔 고령화사회인 것이다. 노년학은 노인이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이면 고령화사회, 14%이면 고령사회, 20%가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출산율 저하, 인간의 수명 연장이 고령화의 원인이다. 급속한 고령화는 사회구조 및 제도, 가치관의 변화 등에 심각한 영향을 가져온다.

선진국과는 달리 고령화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된 우리로서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성장추세는 큰 과제다. 통계청 추계는 불과 15년 뒤인 2019년이면 노인인구는 14.8%에 이르러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한다. 2026년엔 전체인구의 다섯명 중 한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가 된다. 2026년이라야 기껏 20여년 남겨놓고 있다. 2050년이면 노인인구가 34.4%에 달해 국민 3명중 1명이 노인인 사회가 된다. 지금의 10대들이 노인이 될 땐 그런 사회가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경제산업과 사회복지에 큰 부담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노년학은 이래서 새롭게 조명되는 주요 학문으로 등장된다. 노인문제의 가장 큰 과제는 건강이다. 한 통계에 의하면 노인의 86.7%가 한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풍·관절염·요통·좌골통·고혈압·당뇨·치매 및 기타 등이다.

핵가족화의 심화는 가정에서만이 아닌 사회적 측면의 중요 현상으로 점점 더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겹치는 노인세대의 빈곤율은 심각하다. 노인경제 상황이 나쁜 약 50%의 노인 가운데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세대 빈곤율은 31%나 된다.

건강문제와 겹친 경제문제의 어려움은 노인세대의 월 평균 생활비를 59만원 미만으로 잡아도 24.5%나 되는 조사결과가 나와 있다. 물론 벌어놓은 재력이 있거나 상당액의 연금을 받아 노후생활을 여유있게 보내는 노년층이 있긴하나 상당수의 노인들은 건강·경제적 무력감의 이중고에 덮친 고독감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모든 노인이 다 소비적인 것은 아니다. 다행히 거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노인들도 많다. 이런 이들에게 본인이 원하면 눈높이를 낮춘 일자리를 알선해주고, 자원봉사를 활성화 할 기회를 마련해 주는 것은 사회적 책임이다.

대한노인회경기도연합회는 지난해의 경우, 산하 노인회 취업센터 운영으로 2천140여명에게 일자리를 알선하고 공동작업장 운영으로 3억1천여만원의 생산고를 올렸다. 또 연인원 42만여명이 참가하는 환경 및 자연보호, 청소년 선도, 교통봉사대 등 자원봉사활동을 벌였으며 이밖에 청소년 대상의 전통 예절교육과 한문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선 어려움이 적지 않았다. 좀더 제도적 보완과 예산의 뒷받침 등 정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 관심이 노년 인력의 생산화 및 활성화에 관건이 된다.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를 앞둔 이의 대비는 고령화사회에 있는 지금부터 확실하게 해두어야 제대로 된다. 그리고 이 문제는 지금의 노년층이 아닌, 바로 지금의 청·장년층 자신의 문제라는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이제 백발의 노인이 된 노년들은 이 나라를 건국하고, 6·25동란 때 피흘려 나라를 지키고, 보릿고개 때 땀흘려 오늘날 이만큼 살게 만든 고도성장의 주역들이다. 그 지혜와 경륜은 아직도 시들지 않았다.

지금의 청·장년들이 장차 노인이 되었을 땐 무엇을 했노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인지, 그래서 당당한 말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노년문제는 결코 노인의 것만이 아닌 청·장년층 모든 세대의 책임인 것이다.

/이지현.(사)한길봉사회 경기도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