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에서 미군 및 외국군과 외교관 등이 잇따라 피살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피격사건이 발생, 4명이 사상당한 소식이 알려지자 국민들은 충격과 함께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특히 이번 피격사건으로 정부의 이라크 파병방침을 둘러싼 시민·사회단체와 보수단체간의 논란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1일 이라크에 파견된 (주)오무전기 소속 직원들이 지난달 30일 괴한들의 총격으로 2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을 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이라크파병반대국민행동 등 시민단체와 일부 시민들은 “테러 위협에 대한 우려가 생각보다 빨리 현실화되고 있다”며 파병결정 철회를 주장했다.
경기경실련 김필조 정책부장은 “지난 7월초 이라크를 방문했을 때 겉으로는 평온한 것 같아 보였지만 이라크인들의 반미감정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며 “정부의 성급한 결정이 불상사를 부른 만큼 파병문제를 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학생 김하늘양(20)은 “정부가 국가적인 이익때문에 파병한다고 하지만 미국의 명분없는 전쟁에 이끌려가는것 같아 파병에 반대해 왔는데 한국인을 겨냥한 피격사건까지 발생하고 말았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경기본부 관계자는 “이라크 추가파병이 강행될 경우 한국군과 한국인을 겨냥한 테러의 위험성은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근본적인 해결책은 파병결정 철회뿐”이라고 말했다.
반면 보수성향의 일부 단체와 시민들은 “이라크 파병의 필요성을 보여준 사건”이라며 조속한 파병을 주문했다.
경기도재향군인회 관계자는 “이라크의 치안부재 현실이 재차 확인된 것으로 파병의 필요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테러는 극복할 대상이지 피할 대상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회사원 서현석씨(34·수원시 정자동)는 “국제정세상 파병이 불가피하다면 이번 사건과 관계없이 파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 김영길씨(55·자영업·성남시 금곡동)는 “이번 피격사건 소식을 듣고 매우 놀랐다. 파병이 나름대로 명분은 있겠지만 정말로 득이 되는지 아니면 실이 되는 지를 다시 한번 냉철히 검토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