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로 읽는 해신= 최인호 원작. 이우범 그림. 해상왕 장보고의 일대기를 어린이의 눈높이에서 그렸다. 인기 소설가인 저자는 주인공 장보고가 힘든 현실을 이겨내고 꿈을 이루어낸 영웅이라며 이 이야기를 읽고 가슴 속에 커다란 희망을 품어보라고 권했다. 파랑새어린이 刊.
▲카네이션꽃을 훔친 재동이= 김혜리 지음. 이진경 그림. 풀꽃과 천사, 구름, 옹달샘에 모여사는 숲속 동물들과 멧돼지, 나무, 황조롱이, 까치 등을 의인화시킨 짧은 이야기들로, 각박한 현대사회에서 진정 소중하고 아름다운 것이 무엇인지 일깨워준다. 파랑새어린이 刊.
▲고무신 기차= 이춘희 글. 박지훈 그림. 고무신 놀이를 모티브로 한 판타지동화. 강가에서 모래성 쌓기 놀이를 하던 윤수와 윤미는 지나가는 기차를 바라본다. 윤미는 기차타고 외가에 가고 싶다며 오빠를 조른다. 오빠는 동생을 위해 고무신 기차를 만들어 칙칙폭폭 달려간다. 언어세상 刊.
▲루피오의 모험= 장 프랑스아 키에페르 글·그림. 고선일 옮김. 루피오는 추운 겨울 모험의 길에서 자기를 덫에 걸리게했던 사냥꾼 부자가 물속에 빠져 허우적대는 것을 보고 갈등한다. 자신을 덫에 걸리게 했으니 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해서 지나치려고 한다. 그러나 곧 마음을 바꿔 그들을 건져낸다. 비록 자신을 위험에 빠뜨렸지만 그렇다고 그들의 생명을 구하는 일까지 포기해서는 안됨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으뜸사랑 刊.
▲치마를 입어야지, 아멜리아 블루머= 섀너 코리 외 지음. 김서정 옮김. 여자들이 바지를 입는 것이 금지된 19세기, 짧은 치마 밑에 바지를 입는 새로운 패션을 고안한 혁신적인 여성 아멜리에 블루머의 이야기. 아이세움 刊.
▲나도 잘할 수 있어/왜 자꾸 나만 시켜= 헨리케 윌슨 그림. 아누 슈토너 글. 이수은 옮김. 옷 입기, 빠른 몸동작, 식사예절, 정리정돈, 혼자 잠들기, 이 닦기 등의 행동과 잔심부름 등을 통해 책임감과 금해야 할 행동을 배우는 이야기를 담고있다. 달리 刊.
▲거짓말을 먹고 사는 아이= 크리스 도네르 글. 필립 뒤마 그림. 최윤정 옮김. 부모가 아이를 키우면서 한번쯤 접하게 마련인 ‘아이의 거짓말’이라는 문제를 당사자인 아이의 심리묘사를 중심으로 풀어간다. 비룡소 刊.
▲앗! 어떻게 만드는 걸까?= 일본 일간공업신문사 지음. 최현숙 외 옮김. 호기심 넘치는 어린이들에게 볼펜, 연필, 건전지, 유리병 등 주변의 물건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일목요연하게 설명했다. 서울문화사 刊.
▲대장금 = 김영현 극본. 오 수 글·그림. 궁중 최고의 요리사에서 조선시대 최초의 여자 어의인 ‘대장금’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만화. 은행나무 아이들 刊.
▲노래하는 볼돼지 = 김영진 글·그림.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고 잘 부르기도 해서 칭찬을 받지만 좀처럼 가족들 앞에서 뽐낼 기회가 생기지 않는 볼돼지의 심리묘사가 그려졌다. 길벗어린이 刊.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