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보존·복원 模寫화가 육성 시급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을 위해 모사화가의 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에 따르면 회화나 벽화류의 문화재는 세월이 흐르면서 훼손되거나 도난, 소실될 가능성이 커 모사품 제작을 통한 대체전시 등으로 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하지만 정작 이러한 모사품을 제작할 화가들이 태부족한 실정이라는 것. 또한, 우리 나라의 경우, 많은 문화재가 일제시대 해외로 반출됐거나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많이 소실돼 해외에 있는 작품이나 소실된 작품에 대한 모사작업도 절실한 형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 모사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교육기관은 용인대 문화재보존수복학과와 원광대 문화재보존수복학과 정도로 매우 적고 이들 대부분이 최근에 생겨난 곳이어서 현실적으로 모사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 인력이 많지 않다.

게다가 모사작업은 한 작가의 하루 작업량이 사방 1~2㎝ 정도밖에 되지 않아 대규모의 문화재 복원을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적인 인재 육성안이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 국보급 문화재 모사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인력은 10여명 내외. 초상화 부문에 권오창 화백, 탱화 부문의 용인대 이태승 교수, 회화 부문에 원광대 김범수 교수와 김식 화백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도 대부분 독학하거나 일본 도쿄대와 교토대에서 수학한 인물들로 국내 기관에 의해 양성된 인재들은 아니다.

일본의 경우, 문화재 보호를 위한 모사문화가 형성돼 있고 대학원과정에 문화재보존수복학과가 설치돼 있는 도쿄대와 교토대를 중심으로 모사 작가를 전문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일본 모사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일본은 일제시대 이미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를 모사했으며 현재 일본이 소장하고 있는 주요 벽화나 회화 문화재도 모두 모사했다고 알려져 있다.

고구려 승려 담징이 그렸다는 일본 호류사(法隆寺) ‘금당벽화(金堂壁畵)’ 역시 현재 남아 있는 작품은 사진을 기초로 제작한 모사품이고 진품은 1949년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원광대 대학원 문화재보존수복학과 김범수 교수는 “문화재에 대한 모사작업은 우리의 문화재를 지키고 해외에 있는 우리의 문화재를 국내에 알리는 작업”이라며 “분단 이후 북한에서 발굴된 고구려 벽화, 한국의 사찰을 중심으로 남아있는 불교문화재 등은 늦기 전에 빨리 모사작업을 진행해야 할 문화재들”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