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칼럼/싸가지 없는 것들

불한당은 사기쳐서 해먹고 정치꾼은 등쳐서 해먹는다. 불한당은 땀흘리지 않고 남의 돈을 해먹는 것들이고 정치꾼은 권력을 팔아 돈을 해먹는 것들이다. 정치꾼 것들의 변명엔 한결같은 공통점이 있다. “단돈 1원도 받은 사실이 없다”고 처음엔 딱 잡아 떼다가 “받기는 받았어도 대가성이 없다”면서 나중에는 “억울하다”는 소릴 늘어 놓는다. 남의 돈 먹은 정치꾼 것들 치고 처음부터 시인하는 예는 한번도 못보았다.

SK 비자금만 해도 이렇다.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한나라당 최돈웅 국회의원 역시 “단돈 1원도 안받았다”더니 결국 최 전 비서관은 11억원, 최 의원은 100억원의 수수 혐의사실을 검찰에서 시인했다. 하나는 대통령 당선 축하금이고 또 하나는 대선자금이다. 최의원이 받은 돈은 노무현·정몽준 두 후보가 단일화 되기 이전에 이회창 후보가 한창 잘 나가던 때였으므로 그렇다고 쳐도 이상한 게 있다. 당에서 시큰둥하는 걸로 보아 100억원의 행방이 묘연한 모양이다. 현찰 1억원씩 든 쇼핑백으로 100개를 받았다는 돈이다. 사조직에 썼다고손 쳐도 그렇지 참으로 조화속이다.

‘정치자금으로 자식들에게 재산 물려주고 외국에 빌딩까지 산 사람이 있다’는 한 검찰 고위간부의 말이 누굴 누굴 지칭한 것인지 정말 궁금하다. 현대 비자금 200억원을 받은 혐의로 재판 중인 권노갑씨와 관련이 깊은 김영완씨 집 파출부는 “100만원짜리 수표 등 돈다발이 집안에 널려있는 것을 보고 가슴이 뛰었다는 말을 같은 파출부로 부터 들은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해외에 도피중인 김씨는 떼강도에게 수억원을 털리고도 경찰에 신고조차 할 수 없었고, 일선 경찰이 어떻게 알고 수사에 나서자 윗 선에서 수사를 중단케한 베일속 장본인이다. 대우의 어느 임원 부인이 대우가 DJ에게 줄 돈을 집안 건넌방 가득히 쌓아둔 돈 냄새 바람에 골치가 아파 혼났다는 말이 생각난다. 단돈 만원짜리 한장을 들고 발발 떠는 서민들은 정말 환장할 노릇이지만 돌아보면 기막힌 불한당 수법이 또 있다. 잇따른 게이트 시리즈가 이 모양이다. 진도 보물사업을 빙자하여 DJ 처조카 등을 끌어들인 이용호 게이트를 비롯, 진승현 게이트·정현준 게이트·최규선 게이트·윤창렬 게이트·윤태식 게이트가 그렇고 분당판 수서비리라 할 분당 백궁·정자지구 용도변경 특혜가 그러했다.

무일푼이 아니면 기껏 소자본으로 정·관계에 줄을 대어 수천억원씩 대출받은 돈 가운데 상당액을 요로에 다시 뿌려 코를 꿴 권력의 영향력을 확대 재생산하는 것이 이들의 공통 수법이었다. 이 바람에 장관도 날아가고 수석비서관도 날아가고 DJ 아들들도 갇히긴 하였지만 어떻든 서민들은 상상도 못할 요지경 속이다.

이 정권 들어 지난 4월의 일이다. 나라종금 사건으로 안희정 전 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이 2억원을 받고 염동연 인사위원이 또 얼마를 받은 혐의로 검찰의 예봉을 피할 수 없을 때다. 당시 대통령의 한 측근 비서관은 “이런 식으로 하면 어느 당 할 것 없이 안걸릴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며 흥분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해먹은 게 많든 적든 모두가 한통속으로 그 밥에 그 나물이다. 이래서 권력은 곧 돈인가, 이래선 사회에 희망이 없다. 착한 민초들만 무력감을 갖는다. 상식을 파괴하여 축재해 보이는 권력의 시범은 사회상식을 파괴한다. 자살자가 날로 늘고 범죄가 판을 친다. 현금 수송차가 털려도 ‘누군가 잘 해먹었다’고도 하는 참으로 잘 못된 냉소의 사회병리가 다 이에 연유한다.

돈이라면 불가사리처럼 남의 돈 뭉치를 물 불을 가리지 않고 탐내는 싸가지 없는 정치인 권력자들, 이들은 민중의 공적이다. 싸가지 없는 것들은 신·구 권력 주변에 아직도 많다.

/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