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위탁급식이 직영보다 비싸다’는 내용의 보도가 있었는데 이는 표면적 가격차이만 단순 비교한 것이다. 실제는 직영급식이 국민의 세금으로 마련된 예산을 펑펑 지출하고 있으나, 배경 설명이 없어 위탁급식 업체가 정말 폭리를 취하는 듯한 오해를 살 소지가 있다.
민간 전문업체가 학교 안에 조리실을 갖추고 학생들에게 밥을 제공하는 위탁급식은 직영보다 당연히 가격이 상승 될 수 밖에 없다.
첫째, 농산물 등 각종 식자재를 구입할 때 위탁급식은 직영처럼 최저가 낙찰제가 아닌 중~상품의 식자재를 직접 구입해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가장 비중을 차지하는 쌀의 경우 위탁급식은 20Kg당 약 4만~5만2천원 정도의 품질좋은 햅쌀 일반미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직영급식은 20Kg당 약2만2천~2만7천원 하는 정부미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직영급식은 조리실 및 식당 등의 부지사용료, 전기·수도·가스요금을 정부에서 전액 지원받고 있다. 반면 위탁급식업체는 연간 수백만원~수천만원씩(최근 수주한 분당 S고교 4천850만원) 부지 사용료를 내고, 인건비 및 각종 수도 광열비 등으로 연간 수천만원씩 부담해야 한다. 최근 학교 측이 학교운영비를 추가 확보하기 위해 부지사용료를 점점 높이고 있고, 분당 S고교는 학생들로부터 한끼당 약200원을 부지사용료로 받는 꼴이 됐다.
이같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위탁급식 업체는 양질의 음식을 학생들에게 먹이려고 끊임없이 연구 노력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폭리를 취하는 것으로 매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실정을 감안해도 현재 위탁과 직영급식비의 차이는 끼니당 100원 내외로 극히 미미하다. 또 직영급식은 이익을 내지 않고 많은 정부지원을 받는데도 불구하고 급식의 질은 상승되지 못하는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서원현 ·(사)한국급식관리협회 경인지회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