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소싸움축제, 풍기 인삼축제, 소백산 철쭉제 등 최근 각 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지방의 특색에 알맞은 축제를 시행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고양 꽃박람회, 이천 도자기 엑스포 등 여러 가지 축제를 개최하여 주민참여는 물론 지역홍보의 효과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
축제는 지방자치의 핵심적 요소인 주민참여를 이끌어내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주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축제를 통해 광장의 문화를 만들어가는 동시에 지역의 고유한 특색을 홍보할 수 있다. 광장에서 주민들은 축제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하며 합리적인 대안을 만들어낸다. 즉 축제는 지방자치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또한 축제는 수익을 창출하는 경제적 활동이다. 지역의 축제는 각 자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최소한의 수익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익성은 축제가 참가자들에게 제공하는 컨텐츠의 질로서 확보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축제들을 살펴보면 실제 행사와는 무관한 각종 활동들이 넘쳐나 축제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음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점상들로부터 받는 자릿세 등으로 축제의 비용을 충당하는 것이다. 즉 축제의 질적 향상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없다보니 축제와는 별 관련이 없는 행사들을 통해 수익성을 창출하려 하고 있는 셈이다.
축제의 질이 제고될 때 수익성은 자연스럽게 보장된다. 축제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축제의 참가자들에게 만족을 줄 수 있을 때 축제는 주민들이 어우러지는 광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수익성이 보장될 때 축제는 일회성 행사가 아닌 일상적 행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경기도는 무리하게 축제의 수를 늘리는데 주력할 것이 아니라 축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금보다 한 차원 높은 볼거리를 제공한다면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신보영.경기도의회 보사환경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