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록달록 선글라스...여름 멋쟁이

현대인에게 선글라스는 눈의 건강 보호를 위한 ‘보조안경’ 수준을 넘어 패션으로 자리잡았다.

요즘은 일상 생활에서도 많이 쓰고 있는데 패션도 중요하지만 눈의 보호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패션을 생각하며 눈을 제대로 보호할 수 있는 선글라스는 어떤 것일까’ 알아본다.

▲자외선과 선글라스 =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눈 앞이 뿌옇게 흐려지고 백태가 끼는 백내장이나 망막세포에 손상이 오는 황반부변성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선글라스는 자외선을 제대로 차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보통 선글라스의 코팅렌즈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30%, 자외선 차단율이 70%이상 이라야 제 기능을 다한다고 볼 수 있다. 육안으로는 구별하기 어렵고 제품에 부착된 상표의 UV(Ultra Violet, 자외선) 마크를 보고 구별하는 것이 좋다.

▲색상별 특성이 다르다 = 렌즈의 색 농도는 75~80%가 적정하며 그 이상의 짙은 색은 시야를 방해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짙은 회색 계통이 눈에 부담이 적어 가장 무난하나 개인성향에 따라 다양한 색을 고를 수 있다. 녹색은 시원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줘 해변에서 적당하며, 황색 계통의 경우 자외선은 흡수하지만 적외선은 흡수하지 않아 흐린 날씨나 밤에 좋다. 이 밖에 분홍이나 빨강 등의 원색은 개성있게 보일 지는 모르나 눈에 피로를 주므로 장시간 착용은 좋지 않다.

▲2003년 유행 선글라스 = 올해 나온 선글라스의 전반적인 특징은 렌즈의 크기는 커지고 색은 엷어진 것이다. 페레가모나 불가리, 아르마니, 레이밴, 구찌, 샤넬 등 유명브랜드의 전반적인 경향이 그러하다. 이는 복고풍 유행의 영향이기도 하지만 폐쇄적 사회분위기 속에 자신을 감추려는 사회심리학적 요인도 있다.

최근에는 스키 탈 때 쓰는 ‘고글’처럼 크거나 유사한 모양의 ‘세미고글 선글라스’도 나왔다.

무엇보다 선글라스를 고르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렌즈를 고를 때 신중해야 한다는 것. 선글라스가 패션으로 자리잡았다 할 지라도 기능이 제대로 돼야 살아 있는 패션이 연출된다는걸 명심해야 한다.

/박노훈기자 nh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