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 中企’ 산폐물 환경오염

경기침체로 문을 닫은 경기도내 중소업체들이 조업중에 발생한 수십t의 각종 폐기물을 장기간 방치, 환경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폐기물처리이행보증제도에 따라 처리비용이 일부 예치돼 있으나 방치된 폐기물에 비해 턱없이 부족, 자치단체의 행정대집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폐기물처리업체나 제조업체 부도 등으로 방치되고 있는 산업폐기물은 20개업체 19만3천776t으로 처리비용만 1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6월 부도처리된 화성시 태안읍 능리 S산업의 경우 200평의 부지에 폐비닐과 스티로폼, 플라스틱 용기, 병원 환자용 신발 등의 산업폐기물 2천t이 산처럼 수북이 쌓여 11개월째 방치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여름 발생한 화재로 바람만 불면 메케한 냄새가 인근 아파트로 들어오는데다 비만 오면 검은 물이 마을로 흘러들어 주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화성시 송산면 마산리 (주)H도 지난해 2월 폐기물에 대한 이행보증을 이행하지 않아 허가가 취소되면서 콘크리트 덩어리와 녹슨 철근 등 건설폐기물 7만7천t이 쌓여 인근 농지를 오염시키고 있다.

이밖에도 지난 98년 부도가 난 안성시 일죽면 장암리 J산업은 1천700여t의 폐폴리우레탄을 방치하고 있으며 포천군 M폐자원재생도 폐합성수지 3천여t을 처리하지 못하면서 침출수가 토양으로 스며들고 있다.

이처럼 부도업체의 폐기물이 장기간 방치되고 있는 것은 업체가 부담하는 처리이행보증금이 방치된 폐기물을 처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업체의 폐기물 관리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환경을 파괴하는 폐기물을 마냥 방치할 수 없어 국고 보조 4억3천여만원과 도비 등 8억6천만원을 배정했지만 워낙 많은 폐기물이 방치돼 완전하게 처리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심만섭기자 mssh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