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느 나라에서건 대중교통 문제는 매우 어려운 정책과제에 해당한다. 도로건설과 지역연계교통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다가 이른바 수익성 노선과 비수익성 노선의 경영관리적 접근도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버스운영에 관한한 민영이든 공영이든 이용의 편의성을 고려한 최적규모를 찾아내는 것도 쉽지 않다고 한다.
영국의 버스우선 신호시스템이나 노선입찰제, 브라질의 굴절버스체계도 서민의 발이 되는 버스운영의 합리화를 위한 방법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수도권에서는 도로건설이나 확장이 쉽지 않으니 교통대책을 세우는 것 자체가 고역이라 할 수 있겠다.
경기도도 장기적으로는 타운송수단과의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할 각종 기반시설을 늘려나가야 할테지만, 현재에도 버스운영과 관련하여 개선할 점은 많아 보인다.
우선 200여개에 이르는 도내 버스사업체에 대한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확보 없이는 어떠한 정책도 성공할 수가 없고, 가장 중요한 정책은 도민들이 경기도의 정책을 신뢰하도록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버스요금인상이 도민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버스업체는 얼마나 살림이 어려운 지, 어렵다면 공공서비스에 해당하는 버스운영에 얼마나 합리적인 재정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요금인상 때마다 내세우는 서비스개선은 왜 이루어지지 않는지도 모를 일이다. 배차간격이나 노선에 대한 심리적 부담도 큰 것이 현실이다.
버스운수업체들도 이른바 투명하고 공정한 회계처리만이 요금의 현실화를 통해 회사의 경영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정부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임을 인식해야 한다.
버스업체나 경기도가 언제까지나 대충 넘어갈 수 있는 일은 아닌 듯 싶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