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공사 30주년 특집다큐 ‘소리’

KBS는 공사 창립 30주년을 맞아 오는 5∼14일밤 12시 HD특별기획 5부작 다큐멘터리 ‘소리’를 방송한다.

이 다큐멘터리는 국악계의 숨은 명인들의 삶과 예술을 HD카메라에 담아 전통예술의 잊혀진 부분을 복원하고 문화의 지평을 확대하는 의미로 기획됐다. 우리 시대에 마지막 남은 무당, 기녀, 소리 광대 등 일생을 바쳐 공을 들인 소리를 간직한 명인들과 그들의 소리를 KBS ‘국악 한마당’등 국악전문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굿모닝코리아’의 전문PD들이 6개월에 걸친 현장취재를 통해 HD카메라로 복원해냈다.

5일 방송되는 제1편 ‘죽은 자를 위한 산 자의 어머니, 채정례’는 전남 진도씻김굿의 유일한 현존 계승자인 채정례(77) 선생의 삶과 소리를 조명한다.

진도 씻김굿은 춤과 음악 및 연희로서 이제 우리 전통 예술을 대표격이 되었으며 학술적으로도 가무악의 모든 것이 들어 있다는 인정을 받아왔다.

그러나 정작 진도에는 예전 씻김굿 판이 사라져 가고 있다. 굿을 요청하는 사람도 줄어들고 씻김을 제대로 할 단골(무녀)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유일하게 예전같은 굿을 하는 채정례 선생을 기다린다.

2편 ‘화려한 시절의 고독한 광대, 한승호’(6일)에서는 서도소리의 마지막 거두인 한승호(79) 선생의 삶을 소개한다.

그는 평생을 여행하며 ‘광주판 서편제’라불리는 대가 김채만 선생의 소리를 찾아냈다.

현재 서울 정릉에 변변한 제자 하나 없이 은거에 가까운 생활을 하는 그는 “캄캄한 밤 혼자서 산길을 가는 심정”으로 자기만의 소리를 개발했다. 그가 부르는 적벽가를 들으면 “적벽강에 불지르러 간다”는그의 표현처럼 정말 불이 나는 것 같다.

3편 ‘잊혀진 가문의 마지막 중고제, 심화영’(7일)에서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청송 심씨 일가의 예맥(藝脈)을 잇는 마지막 인물인 심화영(89) 선생의 모습을 담아낸다.

그는 중고제의 대가인 아버지 심정순, 가야금 산조와 병창에 탁월한 사촌오빠 심상건, 친오빠 심재덕, 가야금 산조와 소리로 이름난 언니 심매향 등 타고난 소리꾼 가문의 맥을 잇는 마지막 예인이다.

진주검무로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교방굿거리춤으로 경남무형문화재 지정을 받은 ‘춤을 부르는 소리꾼’ 김수악(78) 선생은 제4편 ‘강산제일의 구음, 김수악’(13일)에서 다루게 되며 마지막 5편 ‘다도해의 제사장, 정영만’(14일)은 통영 세습무의 마지막 계승자이자 ‘피리잡이’인 젊은 명인 정영만(47)을 소개한다.

기획자인 최공섭 PD는 “이 분들은 우리 소리의 각 분야에서 마지막 세대들이라지금 기록을 남겨 놓지 않으면 영원히 사라져 버리게 된다”면서 “후손에게 물려 줄 자료를 남긴다는 사명감을 갖고 제작에 임했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