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대책 마련뒤 DMZ내 개발을..."

파주시를 비롯 환경단체들이 남북경협사업으로 인해 비무장지대(DMZ)가 훼손될 우려가 있다며 환경보존대책을 마련한 뒤 남북경협개발이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6일 시와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최근 DMZ에서 진행되고 있는 경의선철도와 도로공사 등이 남북화해의 시작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있어 1년이란는 짧은 공사기간을 맞추기 위해 생태계 보전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는데도 환경부가 협조해줘 장단역을 통과하는 경의선과 국도 1호선의 경우 비무장지대 1.8㎞중 철도(길이 54m)와 도로 의 경우 터널(길이 40m) 2곳 등과 교량(길이 45m) 3곳 등이 건설되고 있다.

이때문에 반세기동안 보존돼 왔던 DMZ의 생태계 파괴가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DMZ내 생태계가 보존될 수 있도록 모든 구간이 교량으로 연결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파주시와 환경단체들은 “자칫 DMZ가 공개적으로 개발된다면 사업자들과 투기꾼들이 몰려 자연생태계가 파괴된다”며 “지금까지 이곳을 지켜왔던 동물들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생태환경장치를 함께 설치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합당하다”고 밝히고 있다.

파주시는 특히 닲경제논리와 정치논리에 앞서면서 성급하게 진행돼온 도로·철도 복원사업의 경우 환경을 최대한 고려하는 쪽으로 전환닲DMZ공동조사와 정확한 생태지도 작성닲지역간 네크워크 구축닲DMZ개발과정에 파주시와 주민들이 환경생태공동조사단에 직접 참여 할 것 등을 대응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푸른파주 21 김승호 사무국장은 “DMZ는 한반도의 상징적인 세계적인 평화생태벨트이니 만큼 개발에 앞서 남북공동 생태조사등을 통한 영구적인 보존방안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