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치는 중앙정치의 뿌리인 동시에 중앙정치의 정서도 조성하고 있다. 지방 정치인과 중앙정치인은 공생관계를 유지할 수 밖에 없으며 중앙정치인의 행동은 지방정치인에게 있어 직간접으로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정치인이라기 보다 행정가에 무게를 더 두는 기초단체장의 경우 당 공천에 있어 상당한 권한을 행사하는 지역 국회의원을 포함해 소속 지구당 위원장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지역에는 선거를 전후해 무더기로 당적을 변경하는 일의 악순환이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다.
당적 변경에 앞서 밝히는 이들의 변을 들어보면 한결같이 지역 발전과 주민들을 위해 결심하게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지역의 이익을 위한 결단이었는지는, 이념과 철학은 고사하고 정치적 신조마저 내던진 가운데 권력의 핵을 좇는 이합집산인지 정말 궁금하다.
유권자 대부분은 후보의 정책이나 공약보다는 소속 정당을 보고 투표를 한다. 지방선거도 마찬가지다. 중앙정치 시각에서 투표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상당수가 그 덕택에 배지를 달았고 내 고장을 대표하는 수장도 된 것이다.
지난 지방선거시 기초단체장과 도의원들이 대거 당적을 한나라당으로 옮기면서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났던 경기·인천지역에 이번 대선을 계기로 또 다시 당적 변경이라는 태풍이 휘몰아치고 있다. 이번에는 지방정치인은 물론이고 중앙정치인까지 대거 가세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중앙정치권의 상황으로 볼때 정치적 생명 유지라는 절박한 상황에서 벌써부터 이당 저당을 기웃거리는 현상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자신을 지지한 유권자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왜 이같은 결정을 하게 됐는지 명쾌하게 설명해야 할 것이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