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남(통계청 경기통계사무소장)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박빙의 승부가 예상됨에 따라 모든 사람들의 궁금증은 ‘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느냐’에 있었다. 이러한 궁금증에 가장 빨리 풀어준 것이 출구조사(exit poll) 결과였다. 출구조사는 투표소에서 투표를 막 마치고 나오는 유권자를 상대로 설문지를 돌려 어느 후보를 선택하였는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선거여론조사 가운데 상대적으로 정확도가 높다고 인정된다. 이런 출구조사도 투표소 부근에서 투표를 마치고 나온 유권자가 ‘누구에게 투표했느냐’ 등의 항목을 담은 질문지에 기재하는 이른바 ‘벨벳박스’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선이 끝나고 각 방송사에서 출구조사결과를 발표하였을 때 그 결과에 대하여 반신반의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지난 2000년 4월 13일에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시 방송사가 대표적인 여론조사기관을 동원해 실시한 출구조사결과가 개표결과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더더욱 그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방송사의 출구조사결과가 개표결과와 거의 일치하게 나타남으로써 출구조사에 대한 신뢰성이 많이 회복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과거 실패사례를 갖고 있는 방송사에서 이번 대통령선거 출구조사를 위한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출구조사와 더불어 전화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여 두 조사방법이 갖고 있는 장단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조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덕택이기도 하다. 다만, 서로 다른 조사방법을 동시에 실시함에 따라 모 방송사의 경우 두 조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 다소 혼란을 주기도 하였지만 이는 조사 방법이 갖고 있는 특성과 오차범위를 고려한다면 박빙의 승부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최근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경험이 축적되고 조사방법에 대한 철저한 연구와 충분한 사전준비작업 등으로 점차 출구조사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다음 선거에서도 이번 출구조사와 같은 좋은 결과를 기대해 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